"프레드 휘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프레드 로렌스 휘플'''({{llang|en|Fred Lawrence Whipple}}, 1906년 11월 5일 ~ 2004년 8월 30일)은 미국의 천문학자다. '''더러운 눈덩...) |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아이오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휘플의 꿈은 [[테니스]] 선수였으나,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접을 수 밖에 없었다. [[롱비치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입학해 수학 전공으로 졸업했으며, 대학 생활중 수학과 관련된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들을 공통으로 다룰 수 있는 [[천문학]]에 매력을 느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입학,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0년]]에는 유명한 더러운 눈덩이 모형 가설을 제시했으며, 이 가설은 [[1986년]] [[핼리혜성]]의 관측을 통해 증명되었다. | [[아이오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휘플의 꿈은 [[테니스]] 선수였으나,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접을 수 밖에 없었다. [[롱비치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입학해 수학 전공으로 졸업했으며, 대학 생활중 수학과 관련된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들을 공통으로 다룰 수 있는 [[천문학]]에 매력을 느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입학,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0년]]에는 유명한 더러운 눈덩이 모형 가설을 제시했으며, 이 가설은 [[1986년]] [[핼리혜성]]의 관측을 통해 증명되었다. | ||
− | 이후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 입사하여 [[운석]], [[혜성]] 등 다양한 천문 관련 연구를 수행했으며, [[교수]]로서도 활동하였다. [[1977년]] 교수직을 은퇴한 이후 언론 활동 등을 이어가다가, [[2004년]] [[8월 30일]]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병원에서 향년 97세로 사망하였다. | + | 이후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 입사하여 [[운석]], [[혜성]] 등 다양한 천문 관련 연구를 수행했으며, [[교수]]로서도 활동하였다. [[1977년]] 교수직을 은퇴한 이후 언론 활동 등을 이어가다가, [[2004년]] [[8월 30일]]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병원에서 향년 97세로 사망하였다.<ref name="Whipple">[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749698 <혜성연구 개척자 휘플 별세>]</ref> |
== 수상 == | == 수상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기타 == | == 기타 == | ||
* 홉킨스 산 천문대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프레드 로런스 휘플 천문대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 홉킨스 산 천문대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프레드 로런스 휘플 천문대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
− | * 생전에 [[혜성]]과 관련된 연구에 많은 애정을 가졌는지, 승용차 번호판의 식별기호도 CO METS( | + | * 생전에 [[혜성]]과 관련된 연구에 많은 애정을 가졌는지, 승용차 번호판의 식별기호도 CO METS(혜성)이었다고 한다.<ref name="Whipple"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2020년 8월 16일 (일) 21:36 기준 최신판
프레드 로렌스 휘플(영어: Fred Lawrence Whipple, 1906년 11월 5일 ~ 2004년 8월 30일)은 미국의 천문학자다. 더러운 눈덩이 모형(dirty snowball model)으로 유명하며, 이외에도 휘플 방패 등을 고안한 바 있다.
생애[편집]
아이오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휘플의 꿈은 테니스 선수였으나,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접을 수 밖에 없었다. 롱비치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입학해 수학 전공으로 졸업했으며, 대학 생활중 수학과 관련된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들을 공통으로 다룰 수 있는 천문학에 매력을 느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입학,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0년에는 유명한 더러운 눈덩이 모형 가설을 제시했으며, 이 가설은 1986년 핼리혜성의 관측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 입사하여 운석, 혜성 등 다양한 천문 관련 연구를 수행했으며, 교수로서도 활동하였다. 1977년 교수직을 은퇴한 이후 언론 활동 등을 이어가다가, 2004년 8월 30일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병원에서 향년 97세로 사망하였다.[1]
수상[편집]
기타[편집]
- 홉킨스 산 천문대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프레드 로런스 휘플 천문대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생전에 혜성과 관련된 연구에 많은 애정을 가졌는지, 승용차 번호판의 식별기호도 CO METS(혜성)이었다고 한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