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북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승강장)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소재지 = {{태극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소재지 = {{태극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ITX-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개역일 = [[1966년]] [[1월 15일]] | |개역일 = [[1966년]] [[1월 15일]] | ||
|역 번호 = | |역 번호 = | ||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1 | ! 1 | ||
| 태백선 | | 태백선 |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ITX-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 [[고한역|고한]]·[[태백역|태백]]·[[강릉역|강릉]] 방면 | | [[고한역|고한]]·[[태백역|태백]]·[[강릉역|강릉]] 방면 | ||
|- | |- | ||
! 2 | ! 2 | ||
| 태백선 | | 태백선 | ||
− | | {{철도 링크|무궁화}} | + | | {{철도 링크|ITX-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 [[제천역|제천]]·[[원주역|원주]]·[[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 [[제천역|제천]]·[[원주역|원주]]·[[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
|} | |} |
2023년 10월 9일 (월) 10:20 기준 최신판
![]() | |
로마자 역명 | Sabuk |
---|---|
한자 역명 | 舍北 |
소재지 | ![]() |
정차하는 열차 | 마음 · 무궁화 |
운영 | ![]() |
노선 | 태백선 |
개역일 | 1966년 1월 15일 |
“ | 석탄을 실어나르던 역에서 강원랜드 관광객을 실어나르는 역으로 | ” |
사북역(한자: 舍北驛)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사북읍에 있는 태백선의 철도역이다.
역사[편집]
1966년 태백선의 철도역으로 개역한 사북역은 사북탄광에서 생산되는 무연탄을 실어나르는 역할을 했다. 일자리를 찾아 탄광으로 몰려온 탄광 노동자들 역시 이 역을 통해 사북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석탄산업이 몰락하였고, 1980년대 후반에는 사북탄광이 완전히 폐광되면서 사북역 이용객 수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렇게 사북역은 태백선의 다른 역들처럼 몰락한 기차역으로 전락했었는데….
2000년에 내국인이 유일하게 합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지노 시설이 있는 강원랜드가 사북역 근처에 개장하면서 사북역은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오늘날 사북역의 주된 이용객은 강원랜드를 찾는 관광객이다.
특징[편집]
태백선 밤 열차를 타고 가면 창밖으로 칠흑 같은 어둠만이 한참 이어지는데, 사북역에 이르면 번쩍번쩍한 네온사인으로 창밖이 별안간 요란스러워진다. 강원특별자치도 깊은 산골짜기 속 정취와는 전혀 맞지 않는 고층건물들과 호텔이 즐비하여, 얼핏 보기에도 여기는 카지노로 먹고사는 동네구나 하는 느낌이 들 정도이다. 오늘도 ‘한탕의 꿈’을 꾸는 사람들이 사북역에서 잔뜩 내리지만, 사북역에서 다시 열차를 타고 서울로 돌아가는 열차를 타는 도박꾼들의 얼굴은 절대 밝지 않다.
사북역에서 조금 내려가면 강원랜드(하이원리조트)로 가는 무료 셔틀버스를 탑승할 수 있어 편리하다.
열차 타는 곳에 석탄을 실어나르던 열차를 전시해 두었다.
승강장[편집]
↑ 민둥산 |
| 21 | |
고한 ↓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1 | 태백선 | 마음 · 무궁화 | 고한·태백·강릉 방면 |
2 | 태백선 | 마음 · 무궁화 | 제천·원주·청량리 방면 |
태백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