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일 평균 승차 = | | |일 평균 승차 = |
| }} | | }} |
− |
| |
− | {{대사|서울 동북권 환승의 중심지}}
| |
− | '''왕십리<small>(성동구청)</small>역'''(Wangsimni<small>(Seongdong-Gu Office)</small>Station, {{llang|ko-Hani|往十里<small>(城東區廳)</small>驛}})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에 있는 [[경원선]]의 철도역이자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 |
− |
| |
− | == 역사 ==
| |
− | 역사가 상당히 오래된 역으로, 1911년 10월 15일에 '''독도역'''이라는 이름으로 [[경원선]]의 철도역으로 개역하였다. 독도(纛島)는 [[뚝섬]]의 한자 표기이다. 1914년에 현재의 역명인 '''왕십리역'''으로 바꾸었다. 1983년에 지하철 2호선 영업을 시작하면서 환승역이 되었고, 1995년에 지하철 5호선 영업을 시작하면서 국내 최초의 3환승역이 되었다. 2012년 9월은 수인분당선이 왕십리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4환승역이 되었다.
| |
− |
| |
− | 2008년에 민자역사가 완공되면서 왕십리역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민자역사에 엔터식스(ENTER6)라는 쇼핑몰과 [[이마트]] 왕십리점이 들어서면서 왕십리역은 성동구 상권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전까지의 왕십리역이 지하철을 갈아타기 위한 환승역으로서의 중요성만 있었다면 이제는 사람들이 일부러 찾는 공간으로 바뀐 것이다.
| |
− |
| |
− | == 특징 ==
| |
− | [[파일:왕십리역.jpg|섬네일|300픽셀|왕십리역 개찰구]]
| |
− | 역 인근에 [[성동구|성동구청]]과 [[한양대학교]]가 있어 유동인구가 매우 많다.
| |
− |
| |
− | === 매머드급 환승역 ===
| |
− | 서울 동북부의 교통 중심지로서,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등 무려 4개의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다. 덕분에 주변 지역은 폭발적인 유동 인구를 자랑한다.
| |
− |
| |
− | 앞으로 왕십리역을 기점으로 하는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하면 5개의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일반열차로는 [[ITX-청춘]] 열차도 일부 정차하고 있으나, 정차 횟수는 많지 않다.
| |
− |
| |
− | {{경원선}}
|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 | {{서울 지하철 5호선}}
| |
− | {{경의중앙선}}
| |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 |
| |
− | [[분류:성동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