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자리끼'''란 밤에 잠을 자다가 깨어 목이 마를 때를 대비해 머리맡에 떠 놓는 [[물]]을 이르는 말이다. 풀이하자면 잠자리에서 먹는 끼니<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422970 <사람들> 우리말 전령사로 나선 농학박사]</ref>라는 뜻으로, [[영어]]에는 1:1 대응되는 표현은 없지만 비슷하게 자기 전에 마시는 [[물을]] Drinking water before bed라고 부른다. 자리끼 [[숭늉]]이라고도 하며 밤을 지낸 자리끼는 밤잔물이나 밤잔숭늉이라고도 부른다. 단 자리끼만으로도 뜻이 설명되기 때문에 숭늉은 굳이 붙일 필요가 없는 표현이긴 하다.  
+
'''자리끼'''란 밤에 잠을 자다가 깨어 목이 마를 때를 대비해 머리맡에 떠 놓는 [[물]]을 이르는 말이다. 풀이하자면 잠자리에서 먹는 끼니<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1422970 <사람들> 우리말 전령사로 나선 농학박사]</ref>라는 뜻으로, [[일본어]]로 오해받곤 하지만 [[순우리말]]이다. 자리끼 [[숭늉]]이라고도 하며 밤을 지낸 자리끼는 밤잔물이나 밤잔숭늉이라고도 부른다. 단 자리끼만으로도 뜻이 설명되기 때문에 숭늉은 굳이 붙일 필요가 없는 표현이긴 하다.  
  
 
[[과거]]에는 [[요강]]과 함께 잠자리에 들기 전 준비해놓는 필수품이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화장실]]과 [[부엌]]이 실내로 들어온데다 [[침대]]와 [[정수기]]의 등장으로 잘 찾아보기가 어렵다. 음용 외에도 자리끼가 있음으로써 방안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만 보통 물 한 대접 정도를 자리끼로 쓰기 때문에 방의 크기가 클수록 그 효과는 미미한 편일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요강]]과 함께 잠자리에 들기 전 준비해놓는 필수품이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화장실]]과 [[부엌]]이 실내로 들어온데다 [[침대]]와 [[정수기]]의 등장으로 잘 찾아보기가 어렵다. 음용 외에도 자리끼가 있음으로써 방안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만 보통 물 한 대접 정도를 자리끼로 쓰기 때문에 방의 크기가 클수록 그 효과는 미미한 편일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9월 5일 (토) 01:32 기준 최신판

자리끼란 밤에 잠을 자다가 깨어 목이 마를 때를 대비해 머리맡에 떠 놓는 을 이르는 말이다. 풀이하자면 잠자리에서 먹는 끼니[1]라는 뜻으로, 일본어로 오해받곤 하지만 순우리말이다. 자리끼 숭늉이라고도 하며 밤을 지낸 자리끼는 밤잔물이나 밤잔숭늉이라고도 부른다. 단 자리끼만으로도 뜻이 설명되기 때문에 숭늉은 굳이 붙일 필요가 없는 표현이긴 하다.

과거에는 요강과 함께 잠자리에 들기 전 준비해놓는 필수품이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화장실부엌이 실내로 들어온데다 침대정수기의 등장으로 잘 찾아보기가 어렵다. 음용 외에도 자리끼가 있음으로써 방안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만 보통 물 한 대접 정도를 자리끼로 쓰기 때문에 방의 크기가 클수록 그 효과는 미미한 편일 것으로 추정된다.

포카리스웨트는 자리끼에 적합하다고 소개하고 있다.

기타[편집]

관련 문서[편집]

주석[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