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즙 파동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티디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28일 (금) 23:19 판 (새 문서: '''무즙 파동'''은 1964년 중학교 입시에서 일어난 복수 정답 논란 사건이다. == 상세 == 1964년 12월 7일, 1965학년도 중학교 입시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무즙 파동1964년 중학교 입시에서 일어난 복수 정답 논란 사건이다.

상세

1964년 12월 7일, 1965학년도 중학교 입시의 정답이 발표되었다. 복수 정답이 무려 20개의 문제에서 인정되는 일이 있었으나, 문제는 다른 곳에 있었다. 무즙 파동이란 이름의 원인이 된 것은 자연 과목의 18번 문제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다음은 엿을 만드는 순서를 차례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① 찹살 1kg 가량을 물에 담갔다가
②이것을 쪄서 밥을 만든다.
③이 밥에 물 3L오 엿기름 160g을 넣고 잘 섞은 다음에 60도의 온도로 5~6시간 둔다.
④ 이것을 엉성한 삼베 주머니로 짠다.
⑤ 짜 낸 국물을 조린다.

18. 위 ③과 같은 일에서 엿기름 대신 넣어도 좋은 것은 무엇인가?

① 디아스타제 ② 무즙 ③ 꿀 ④ 녹말

발표된 정답은 ①번 디아스타제였으나, ②번을 선택한 학생의 학부모들로부터 무즙 역시 정답이라는 항의가 빗발치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무즙에도 디아스타제가 포함되어 있는데다, 당시 교과서[1]에서도 무즙에 디아스타제가 들어간다는 내용이 적혀있었기 때문이다.

학부모들의 항의에 교육위원회에서는 12월 9일 문제를 무효화한다고 발표했으나 이번에는 반대로 ①번을 선택한 학생의 학부모들의 항의가 이어졌고, 결국 다시 번복하여 ①번만을 정답으로 인정하였다. 이로 인해 낙방한 학생들의 학부모들은 무즙을 넣어 만든 을 담은 을 서울시 교육위원회에 가지고 와서 항의하기까지 했다.[2][3]

이후 사건은 1965년 2월에 학부모 40명이 법정에 소를 제기하면서 법정공방으로 이어졌고, 3월 30일 고등법원 판결로 원고 승소하면서 종료되었다. 단 이런 혼란 속에서 일부 부유층과 지도층 자녀의 부정 입학이 은근슬쩍 자행되기도 했다.

영향

당시 과열되는 중학교 입시에 대한 문제에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 사건이 일어난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늘어놓기와 이히 문제[4] 논란이 벌어졌고, 여기에 창칼 파동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결국 중학교 무시험 진학 제도는 폐지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주석

  1. ^ 국민학교 자연교과서 6-2
  2. ^ 꼬리문騷動(소동)…『自然(자연)』18번"무汁(즙)엿 먹어보라"
  3. ^ 이런 행동은 단순히 교육열에 의한 것이 아니라, 기사를 보듯 당시 서울시 교육감이 무즙으로 엿을 만들 수 있다면 구제해 보겠다는 발언에서 기인하였다.
  4.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무즙파와 창칼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