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골드라인
![]() | |
한글 표기 | 김포골드라인 |
---|---|
영문 표기 | Gimpo Goldline |
한자 표기 | 金浦都市鐵道 |
소재국 | ![]() |
소유 | 서울특별시 |
기점 | 양촌 |
종점 | 김포공항 |
운행 계통 | ● 김포골드라인 |
궤간 | 1,435㎜ |
선로 | 2 |
열차 편성 | 2량 1편성 |
영업 거리 | 23.6km |
표정 속도 | 43.6km/h |
배차 간격 | 3분(출퇴근시간) 6분(평상시) |
개통일 | 2019년 9월 28일 |
“ | 김포골병라인 | ” |
김포골드라인(영어: Gimpo Goldline) 또는 김포도시철도는 경기도 김포시 양촌역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김포공항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상징 색깔은 서울 도시철도 9호선과의 연계성을 강조하기 위해 9호선 상징 색깔과 비슷한 ●금색을 채택했다.
김포 한강신도시의 교통 대책으로 2019년에 개통하였다. 국비를 지원받지 않고 도시철도를 건설한 첫 사례이다. 운영은 김포골드라인운영주식회사에서 담당한다.
지옥철
김포골드라인은 개통 시기가 비교적 최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운행하고 있는 모든 수도권 전철을 통틀어 가장 높은 혼잡도를 보이는 지옥철이다. 김포골드라인의 평일 출근시간대 평균 혼잡도는 200%로, 입석을 포함한 정원의 2배에 달하는 승객이 전철에 몸을 우겨넣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압사사고 등의 안전사고 우려가 많다. 이 때문에 출퇴근시간대에는 안전요원이 승객들의 에스컬레이터 사용을 통제하고 있으며 의료인력까지도 배치되고 있다. 실제로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승객이 수 일에 한 번 꼴로 나오는 무시무시한 상황이다.
김포골드라인은 이용객들에게 김포골병라인으로 불리며 악명을 떨치고 있다.
원인
김포골드라인이 지옥철이 된 것은 개통 이전부터 이미 예견되어 있던 일이었다. 2020년대 들어서 한강신도시의 개발로 김포시의 인구는 50만 명으로 크게 늘었으나 한강신도시에서 서울로 가는 교통수단은 2량짜리 경전철 하나뿐이다. 경전철 한 대(2량)의 정원은 300명으로, 배차간격을 아무리 촘촘히 하더라도 출퇴근시간 1~2시간에 몰리는 승객을 감당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승강장 크기도 2량짜리 경전철에 딱 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차량을 연결하여 4량 1편성으로 만드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렇게 뻔히 지옥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보다 수송능력이 좋은 교통수단을 놓을 수 없었는지 의문이 들 수 있는데, 그에 대한 답은 김포시의 예산 부족 문제와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부족으로 축약할 수 있다.
역 목록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G100 | 양촌 | - | 0.0 | 김포골드라인운영 본사 | |
G101 | 구래 | 1.4 | 1.4 | 이마트 김포한강점 | |
G102 | 마산 | 1.6 | 3.0 | 김포생활체육관 | |
G103 | 장기 | 2.6 | 5.6 | 김포세무서 | |
G104 | 운양 | 1.7 | 7.3 | 운양동 행정복지센터 | |
G105 | 걸포북변 | 3.4 | 10.7 | 걸포초등학교 | |
G106 | 사우 (김포시청) |
1.8 | 12.5 | 김포종합운동장, 김포시청 | |
G107 | 풍무 | 1.6 | 14.1 | 트레이더스 김포점 | |
G108 | 고촌 | 3.6 | 17.7 | 고촌읍 행정복지센터 | |
G109 | 김포공항 | 5.9 | 17.7 | ![]() ![]() ![]() 서해 |
김포국제공항 |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