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coccus neoformans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크립토콕쿠스 | ||||||||||||||
---|---|---|---|---|---|---|---|---|---|---|---|---|---|---|
![]() Cryptococcus neoformans | ||||||||||||||
생물 분류 | ||||||||||||||
|
“ | 비둘기의 배설물에 들어있는 병원체 | ” |
Cryptococcus neoformans는 동물과 식물에서 살 수 있는 일종의 효모이다. 비둘기의 배설물에서 종종 발견된다.
병리[편집]
C. neoformans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증상은 크립토콕쿠스증이라고 한다. C. neoformans로 인한 감염은 대부분의 경우 폐 감염을 유발한다. 하지만, 에이즈 환자에서는 곰팡이성 뇌수막염과 뇌염이 유발되어 치명적일 수 있다. 면역력이 온전한 사람에서는 감염이 드물다. 통성 세포내기생성 병원체이다.
인체감염은 공기에 떠다니는 C. neoformans의 포자를 흡입함으로서 발생하며 중추신경계로 전이되어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폐에서, C. neoformans는 폐 대식세포에 의해 탐식된다. 대식세포는 산화 및 질소화를 유발하는 물질을 분비하여 침입한 병원체를 제거한다. 하지만, 일부 C. neoformans는 대식세포 안에서 생존할 수 있다. 따라서 C. neoformans는 세포내에 장기간 잠복할 수 있으며, 항곰팡이제를 투여하여도 제거하기가 힘들다.
C. neoformans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므로 뇌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편집]
중추신경계 감염을 유발하지 않은 크립토콕쿠스증은 플루코나졸 단독 투여로 치료할 수 있다.
크립토콕쿠스성 뇌수막염은 2주 동안 암포테리신 B와 플루사이토신을 투여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치료가 상당히 까다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