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Korean2019 (토론 | 기여)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소재국 = [[파일:인공기.png|30px]]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재국 = [[파일:인공기.png|30px]]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소유 = | |소유 = | ||
− | |운영 = | + | |운영 = {{철도회사|평양지하철도관리국}} |
|위탁 운영 = | |위탁 운영 = | ||
|기점 = [[광복역|광복]] | |기점 = [[광복역|광복]] |
2019년 1월 8일 (화) 09:27 판
![]() | |
한글 표기 |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 |
---|---|
영문 표기 | Hyŏksin Line |
한자 표기 | 革新線 |
소재국 | ![]() |
운영 | ![]() |
기점 | 광복 |
종점 | 락원 |
운행 계통 |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4량 1편성 |
영업 거리 | 15km |
배차 간격 | 2~3분 (출퇴근시간), 5~7분 (평상시)[1] |
개통일 | 1975년 9월 9일 |
“ | 평양 지하철도 2호선 | ” |
혁신선(한자: 革新線)은 평양시내를 동서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선으로서, 서쪽의 광복역과 동쪽의 락원역을 잇는다. 1975년 9월 9일 혁신-락원 구간이 개통되며 일부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1978년 9월 9일에 광복역부터 락원역에 이르는 전 구간이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하면서 그 시신을 미라로 만들어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해두었는데, 이 때문에 금수산기념궁전 앞에 있던 광명역[2]은 폐역되었다.
천리마선과는 전승역에서 간접환승 방식으로 환승이 된다.
노선
역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비고 |
---|---|---|---|
광복 | 광복백화점 | ||
건국 | 보통강역 | ![]() | |
황금벌 | 평양체육관 | ||
건설 | 류경호텔, 정주영체육관 | ||
혁신 | 모란봉호텔 | ||
전승 | 틀:평양지하철 링크 | 4.25 문화회관 | |
삼흥 | 김일성종합대학 | ||
락원 | 조선중앙동물원, 중앙식물원, 대성산 | ||
주석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