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
잔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File:Kcc room 410.jpg|섬네일|교실의 모습]] | ||
'''교실'''({{llang|ko-Hani|敎室}} {{llang|en|class}})은 학습 할동이 이루어지는 방을 이르는 말이다. 교실은 일반적으로 교육 기관인 [[학교]]에서 볼 수 있으며, 그외에도 [[학원]]이나 각종 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실들이 있다. 교실은 [[칠판]] 및 교육과 공부에 필요한 시설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 '''교실'''({{llang|ko-Hani|敎室}} {{llang|en|class}})은 학습 할동이 이루어지는 방을 이르는 말이다. 교실은 일반적으로 교육 기관인 [[학교]]에서 볼 수 있으며, 그외에도 [[학원]]이나 각종 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실들이 있다. 교실은 [[칠판]] 및 교육과 공부에 필요한 시설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 ||
19번째 줄: | 20번째 줄: | ||
:컴퓨터가 많다. <del>사실상 PC방의 열화카피</del> 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실은 1983년 3월 서울동덕여고에 설치된 것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32600209201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3-26&officeId=00020&pageNo=1&printNo=18916&publishType=00020 고등학교에 國産 「개인용」 첫보급], 《동아일보》, 1983. 3. 26.</ref> | :컴퓨터가 많다. <del>사실상 PC방의 열화카피</del> 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실은 1983년 3월 서울동덕여고에 설치된 것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32600209201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3-26&officeId=00020&pageNo=1&printNo=18916&publishType=00020 고등학교에 國産 「개인용」 첫보급], 《동아일보》, 1983. 3. 26.</ref> | ||
* 기술실 | * 기술실 | ||
− | 공작활동을 한다. 선반을 만든다던가.. | + | :공작활동을 한다. 선반을 만든다던가.. |
* 가정실 | * 가정실 | ||
− | 요리를 한다. | + | :요리를 한다. |
+ | * 과학실 | ||
+ | :과학실험을 한다. 인체모형이 상주하는 곳. | ||
* 체육관(?) | * 체육관(?) | ||
28번째 줄: | 31번째 줄: | ||
* [[방과 후 학교]] | * [[방과 후 학교]] | ||
* 교실 환경미화 | * 교실 환경미화 | ||
− | :말 그대로 교실의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뜻하나, 대부분은 교실 뒤에 붙여있는 [[칠판]] 크기의 넓은 대부분 초록색인 [[게시판]]을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학년이 바뀌는 1년마다 3월 중-후반에 걸쳐 시행하며 환경미화 인원을 따로 뽑아서 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는 귀찮다고 그냥 전학년이 해놓은 걸 그대로 쓰기도 한다. < | + | :말 그대로 교실의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뜻하나, 대부분은 교실 뒤에 붙여있는 [[칠판]] 크기의 넓은 대부분 초록색인 [[게시판]]을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학년이 바뀌는 1년마다 3월 중-후반에 걸쳐 시행하며 환경미화 인원을 따로 뽑아서 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는 귀찮다고 그냥 전학년이 해놓은 걸 그대로 쓰기도 한다. <del>대대물림</del> |
+ | ---- | ||
+ | <references/> | ||
[[분류:학교]] | [[분류:학교]] |
2015년 7월 8일 (수) 06:32 기준 최신판
교실(한자: 敎室 영어: class)은 학습 할동이 이루어지는 방을 이르는 말이다. 교실은 일반적으로 교육 기관인 학교에서 볼 수 있으며, 그외에도 학원이나 각종 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실들이 있다. 교실은 칠판 및 교육과 공부에 필요한 시설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학교에서는 학년과 반순서에 따라 '학년-반' 형식으로 이름을 짓고 반이라고 칭한다. 한 교실은 반을 나누는 기준이 되고 또한 한 교실 안에서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의 집단을 학급이라 이른다. 과거에는 보통 60여명이 한 학급에 속했으나 너무 많을뿐아니라 학업에도 도움이 안된다며 현대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학교가 30, 20여명이다.
교실에 있는 것들[편집]
- 이전에는 그냥 칠판과 분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학생들과 교사의 건강에 나쁘다 하여 물칠판 등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물통이 따로 비치되며 물백묵을 사용하는 칠판은 분필 대신 물백묵이 있다.
- 초등학교만 데스크탑식 PC가 있고 중고등학교는 교사가 노트북을 들고 다닌다. 컴퓨터와 TV는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에 교사가 없는 틈을 타 학생들이 점령하기도 한다. 야동트는 인간도 있다.
특수목적 교실[편집]
- 컴퓨터실
- 컴퓨터가 많다.
사실상 PC방의 열화카피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실은 1983년 3월 서울동덕여고에 설치된 것이다.[1]
- 기술실
- 공작활동을 한다. 선반을 만든다던가..
- 가정실
- 요리를 한다.
- 과학실
- 과학실험을 한다. 인체모형이 상주하는 곳.
- 체육관(?)
관련 문서[편집]
- 방과 후 학교
- 교실 환경미화
- 말 그대로 교실의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뜻하나, 대부분은 교실 뒤에 붙여있는 칠판 크기의 넓은 대부분 초록색인 게시판을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학년이 바뀌는 1년마다 3월 중-후반에 걸쳐 시행하며 환경미화 인원을 따로 뽑아서 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는 귀찮다고 그냥 전학년이 해놓은 걸 그대로 쓰기도 한다.
대대물림
- ^ 고등학교에 國産 「개인용」 첫보급, 《동아일보》, 198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