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18.219.87.92(토론)의 편집을 블루시티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되돌리기)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그림 = [[파일:인천시청역1호선승강장2024.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인천1}}">●'''인천 1호선'''</font> 승강장<br>[[파일:인천시청역2호선승강장2024.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인천2}}">●'''인천 2호선'''</font> 승강장 | |그림 = [[파일:인천시청역1호선승강장2024.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인천1}}">●'''인천 1호선'''</font> 승강장<br>[[파일:인천시청역2호선승강장2024.jpg|320픽셀]]<br><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인천2}}">●'''인천 2호선'''</font> 승강장 | ||
|노선 = {{지하철|서울|인천1}} · {{지하철|서울|인천2}} | |노선 = {{지하철|서울|인천1}} · {{지하철|서울|인천2}} | ||
− | |역명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인천시청 | + | |역명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인천시청 <small><small>(인천 1호선)</small></small> |
− | |역명2 =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인천시청 | + | |역명2 = ← [[파일:삼태극.png|20픽셀]] 인천시청 <small><small>(인천 2호선)</small></small> → |
|이전역명 = [[간석오거리역|간석오거리]] | |이전역명 = [[간석오거리역|간석오거리]] | ||
|이전역명2 = [[석바위시장역|석바위시장]] | |이전역명2 = [[석바위시장역|석바위시장]] | ||
|다음역명 = [[예술회관역|예술회관]] | |다음역명 = [[예술회관역|예술회관]] | ||
|다음역명2 = [[석천사거리역|석천사거리]] | |다음역명2 = [[석천사거리역|석천사거리]] | ||
− | |로마자 역명 = Incheon City Hall | + | |로마자 역명 = Incheon City Hall |
− | |한자 역명 = 仁川市廳 | + | |한자 역명 = 仁川市廳 |
|소재지 = {{태극기}} [[인천광역시]] [[남동구]] | |소재지 = {{태극기}} [[인천광역시]] [[남동구]] | ||
|운영 = {{철도회사|인천교통공사}} | |운영 = {{철도회사|인천교통공사}}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일 평균 승차 = | |일 평균 승차 = | ||
}} | }} | ||
+ | {{대사|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역}} | ||
+ | |||
+ | '''인천시청역'''({{llang|ko-Hani|仁川市廳驛}})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 ||
+ | |||
+ | == 특징 == | ||
+ | [[파일:인천시청역문화마당.jpg|300픽셀|섬네일|인천시청역 청소년 문화마당]] | ||
+ | |||
+ | 서울에 있는 [[시청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인천"시청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천시청역은 광역시 중에서 유일하게 지역명이 붙은 시청역이다. [[부산]]과 [[대전]]의 경우 독자적인 지하철 망을 거느리고 있기 때문에 부산시청역, 대전시청역이 아니라 그냥 "시청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인천 도시철도는 서울 도시철도와 연결되어 있어 반드시 "인천"시청역 / "인천"도시철도 1호선 등으로 표기해야 서울과의 혼동이 없다. | ||
+ | |||
+ | 인천시청역은 인천 유일의 인천 도시철도간 환승역이다. 인천 1호선과 인천 2호선의 환승역으로 처음부터 계획되어 역 규모가 그에 맞게 크게 설계되었다. 두 승강장이 ㄱ자 형태로 만나므로 환승통로는 승강장 끄트머리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편리한 환승을 위해서는 환승통로의 위치를 잘 확인하고 미리 지하철 끝 칸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 ||
+ | |||
+ | 인천시청역 지하 1층 대합실 광장에는 청소년 문화마당이 있다. 이곳은 인천 청소년들의 춤 연습을 위한 공간이다. 중앙 무대를 중심으로 [[거울]]이 마련된 춤 연습장이 사방에 위치한 형태이다. 별도 예약 시스템이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는 곳이므로 이용객이 많은 주말에는 다른 팀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사용해야 한다. | ||
+ | |||
+ | == GTX-B 노선 정차 == | ||
+ | 2030년 개통 예정인 [[GTX-B]] 노선의 정차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GTX-B 노선은 [[인천대입구역]]에서 시작하여 인천시청역을 경유, [[부평역]]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인천시청역에는 GTX 환승센터가 건립되어 인천 남동구 일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예정이다. | ||
+ |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
+ | |||
+ | [[분류:남동구]] |
2025년 4월 7일 (월) 00:24 기준 최신판
![]() ●인천 1호선 승강장 ![]() ●인천 2호선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Incheon City Hall |
---|---|
한자 역명 | 仁川市廳 |
소재지 | ![]() |
역 번호 | I124 (인천 1호선) I221 (인천 2호선) |
운영 | ![]() |
노선 | 인천1 · 인천2 |
개역일 | 1999년 10월 6일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역 | ” |
인천시청역(한자: 仁川市廳驛)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서울에 있는 시청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인천"시청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천시청역은 광역시 중에서 유일하게 지역명이 붙은 시청역이다. 부산과 대전의 경우 독자적인 지하철 망을 거느리고 있기 때문에 부산시청역, 대전시청역이 아니라 그냥 "시청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인천 도시철도는 서울 도시철도와 연결되어 있어 반드시 "인천"시청역 / "인천"도시철도 1호선 등으로 표기해야 서울과의 혼동이 없다.
인천시청역은 인천 유일의 인천 도시철도간 환승역이다. 인천 1호선과 인천 2호선의 환승역으로 처음부터 계획되어 역 규모가 그에 맞게 크게 설계되었다. 두 승강장이 ㄱ자 형태로 만나므로 환승통로는 승강장 끄트머리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편리한 환승을 위해서는 환승통로의 위치를 잘 확인하고 미리 지하철 끝 칸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인천시청역 지하 1층 대합실 광장에는 청소년 문화마당이 있다. 이곳은 인천 청소년들의 춤 연습을 위한 공간이다. 중앙 무대를 중심으로 거울이 마련된 춤 연습장이 사방에 위치한 형태이다. 별도 예약 시스템이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는 곳이므로 이용객이 많은 주말에는 다른 팀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사용해야 한다.
GTX-B 노선 정차[편집]
2030년 개통 예정인 GTX-B 노선의 정차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GTX-B 노선은 인천대입구역에서 시작하여 인천시청역을 경유, 부평역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인천시청역에는 GTX 환승센터가 건립되어 인천 남동구 일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검단호수공원 - 신검단중앙 - 아라(북부법원·검찰청) - ![]() ![]() ![]() ![]()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