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청역
●인천 1호선 승강장 ●7호선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Bupyeong-gu Office |
---|---|
한자 역명 | 富平區廳 |
소재지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역 번호 | I118 (인천 1호선) 759 (7호선) |
운영 | |
노선 | 인천1 · |
개역일 | 1999년 10월 6일 |
“ | 인천 1호선과 서울 7호선의 환승역 | ” |
부평구청역(한자: 富平區廳驛)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및 갈산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4번 출구쪽에 부평구청이 인접해 있어 부평구청역이라는 역명이 붙었다. 그 밖에도 인천여성가족재단(3번 출구), 부평세림병원(6번 출구), 인천청소년꿈키움센터(7번 출구), 인천부평경찰서(8번 출구) 등의 시설들과 인접해 있다.
인천 1호선과 서울 7호선이 만나는 부평구청역은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지옥철이 된다. 유동인구가 많은 역 답게 역사 내에 지하상가가 조성되어 있어 간단한 쇼핑이 가능하다. 두 노선의 승강장은 L자 형태로 만나며, 인천 1호선은 지하 2층, 서울 7호선은 지하 3층에 각각 위치하여 1층만 오르내리면 환승이 가능하다. 환승이 편리한 편에 속한다.
2022년 1월 1일, 7호선 까치울역~부평구청역 구간이 서울교통공사에서 인천교통공사로 관리주체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서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 소속 기관사 교대가 이루어지는 역이 부평구청역에서 온수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문제는 이와 함께 부평구청발 열차가 사라지고, 7호선 열차는 모두 석남역 또는 온수역에서 출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출근시간에 석남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이미 석남역, 산곡역에서 탑승한 승객들로 가득 찬 상태이므로 부평구청에서 탑승할 승객은 앉아가기가 어렵다. 부평구청역의 환승역으로서 위상이나 이용객수를 생각하면 아쉬운 점이다.
7호선의 경우 기둥에 빨간색을 사용하여 중요한 환승역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었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상봉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자양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고속터미널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석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