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남역
●7호선 승강장 ●인천 2호선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Seongnam |
---|---|
한자 역명 | 石南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서구 |
역 번호 | 761 (7호선) I213 (인천 2호선) |
운영 | |
노선 | · 인천2 |
승강장 구조 | 복선 상대식 승강장 (7호선, 인천 2호선) |
개역일 | 2016년 7월 30일 |
“ | 서울 7호선과 인천 2호선의 환승을 가능하게 만든 역 | ” |
석남역(한자: 石南驛)은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7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빈약한 역세권[편집]
부역명은 거북시장이다. 역 주변에 거북시장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데, 사실 거북시장은 인천 지하철 2호선의 서부여성회관역에 조금 더 가깝다. 역 주변은 인천의 구도심 지역과 신도시 지역 중간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오래된 주택과 약간의 유흥업소가 있는 별 볼일이 없는 곳이다. 그러나 2021년 5월 22일, 서울 도시철도 7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짐에 따라 인천의 새로운 교통 중심지로 급부상하게 되었다.[1]
깊은 곳에 있는 역[편집]
역 깊이가 굉장히 깊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석남역에서 내려 지상으로 올라올 때는 계단을 이용하는 것보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아예 엘리베이터 앞에 “지하철 모든 이용자 사용 가능합니다”라는 안내를 붙여서 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이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임을 확실하게 표시해 두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21년 개통한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승강장은 기존 인천 지하철 2호선 승강장보다 더 깊은 곳에 만들어졌다. 두 승강장 사이의 거리는 멀리 않지만, 깊이 차이가 서로 상당하여 환승 난이도가 높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환승 통로에 인천 최초로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다만 여기 설치된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장애인 전용으로 운용되는 것이며, 비장애인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역은 인천대로 (구 경인고속도로) 지하에 있는데, 인천대로의 교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지하철 공사를 하려다 보니 역 깊이가 아주 깊어진 것이다. 석남역을 건설할 때 사용된 공법은 서울 도시철도 9호선 고속터미널역을 건설할 때 사용된 공법과 같은 CAM 공법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고속터미널역과 마찬가지로 대합실 공간이 아주 넓고 천장이 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다.
주석[편집]
- ^ 서울 7호선 석남 연장선 내일 개통…인천 서구∼강남 1시간대, <연합뉴스>, 2021년 5월 2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
---|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상봉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자양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고속터미널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석남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