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운영 = {{철도회사|인천교통공사}} | |운영 = {{철도회사|인천교통공사}} | ||
|기점 = [[계양역|계양]] | |기점 = [[계양역|계양]] | ||
− | |종점 = [[ | + | |종점 = [[송도달빛축제공원역|송도달빛축제공원]] |
− | |영업 거리 = | + | |영업 거리 = 30.3㎞ |
|소요 시간 = 54분 | |소요 시간 = 54분 | ||
|표정 속도 = 32.7㎞/h | |표정 속도 = 32.7㎞/h | ||
|배차 간격 = | |배차 간격 = | ||
−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박촌~동막)<br>[[1999년]] [[12월 7일]] (귤현~박촌)<br>[[2007년]] [[3월 16일]] (계양~귤현) <br> [[2009년]] [[6월 1일]] (동막~국제업무지구) | +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박촌~동막)<br>[[1999년]] [[12월 7일]] (귤현~박촌)<br>[[2007년]] [[3월 16일]] (계양~귤현) <br> [[2009년]] [[6월 1일]] (동막~국제업무지구) <br> [[2020년]] [[12월 12일]] (국제업무지구~송도달빛축제공원) |
}} | }} |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1999년 10월 6일, 최초 개통(박촌~동막)하였다.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총 연장은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1999년 10월 6일, 최초 개통(박촌~동막)하였다.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총 연장은 30.3km이다. [[수도권 광역전철 1호선]](부평역), [[인천국제공항철도]](계양역), [[서울 도시철도 7호선]](부평구청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시청역), [[수인분당선]](원인재역)과 접속한다. |
인천선이라 표현하기도 하는데 간혹 경인선과 인천선을 혼동하는 경우도 보인다. | 인천선이라 표현하기도 하는데 간혹 경인선과 인천선을 혼동하는 경우도 보인다. |
2023년 6월 30일 (금) 09:48 판
한글 표기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영문 표기 | Incheon Metro Line1 |
한자 표기 | 仁川 都市鐵道 1號線 |
소유 | 인천광역시 |
운영 | ![]() |
기점 | 계양 |
종점 | 송도달빛축제공원 |
영업 거리 | 30.3㎞ |
소요 시간 | 54분 |
표정 속도 | 32.7㎞/h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박촌~동막) 1999년 12월 7일 (귤현~박촌) 2007년 3월 16일 (계양~귤현) 2009년 6월 1일 (동막~국제업무지구) 2020년 12월 12일 (국제업무지구~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1999년 10월 6일, 최초 개통(박촌~동막)하였다.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총 연장은 30.3km이다. 수도권 광역전철 1호선(부평역), 인천국제공항철도(계양역), 서울 도시철도 7호선(부평구청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시청역), 수인분당선(원인재역)과 접속한다.
인천선이라 표현하기도 하는데 간혹 경인선과 인천선을 혼동하는 경우도 보인다.
외부 링크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