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디지털단지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20번째 줄: 20번째 줄:
 
|일 평균 승차 =
 
|일 평균 승차 =
 
}}
 
}}
{{대사|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이 만난 역}}
 
 
'''가산디지털단지<small>(마리오아울렛)</small>역'''(Gasan Digital Complex<small>(Mario Outlet)</small>Station, {{llang|ko-Hani|加山디지털團地驛}})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도시철도 7호선]]의 전철역이다.
 
 
== 역명 ==
 
1974년 8월 15일 개역 당시 이 역의 이름은 '''가리봉역'''이었다. 당시 역이 위치한 행정구역이 '''가리봉동'''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1995년에 [[금천구]]가 구로구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면서 역 주소가 금천구 '''가산동'''이 되었다. 이에 따라 행정구역명과 역명을 일치시키기 위해 2005년 7월에 가리봉역을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역으로 개명하게 되었다.<ref>[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41685 가리봉역, ‘가산 디지털 단지역’ 개명], KBS, 2005년 5월 20일</ref>
 
 
그러나 이러한 역명 변경의 배경에는 단순히 행정구역 변경 문제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본래 가리봉동은 [[구로공단]] 개발에 따라 노동자들이 모여들면서 [[달동네]]를 형성한 곳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 산업구조가 재편되면서 [[제조업]] 중심의 구로공단은 [[IT]] 기업 중심의 '''디지털 산업단지'''로 탈바꿈 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서 가리봉동의 낙후된 달동네 이미지가 더 이상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서 가리봉역을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바꾼 것이다. 즉, 가산디지털단지역의 역명 변경은 시대 흐름에 따른 산업 구조 변화를 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특징 ==
 
역 주변으로는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돼 있어 많은 IT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그러나 제대로 된 도로망 확충 없이 산업단지 개발을 무리하게 추진하게 되면서 이 일대는 악명 높은 교통혼잡 지역이 됐다. 특히, 수출의 다리 주변으로 상습정체가 심각하며, 이 일대를 완전히 갈아엎지 않는 한 뾰족한 대책도 없어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의 존재는 이곳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에게 유일한 희망이 되고 있다.
 
 
== 주석 ==
 
<references/>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분류:금천구]]
 

2025년 4월 6일 (일) 13:54 판

구로삼태극.png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1호선)독산 남구로삼태극.png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7호선)철산
가디역승강장2024.jpg
7호선 승강장
로마자 역명 Gasan Digital Complex(Mario Outlet)
한자 역명 加山디지털團地
소재지 태극기.png 서울특별시 금천구
역 번호 P144 (1호선)
746 (7호선)
운영 코레일 로고.png

서울교통공사.png

노선 Seoul Metro Line 1.png · Seoul Metro Line 7.png
개역일 1974년 8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