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경강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월곶~강릉을 잇는 철도 노선에 대해서는 경강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00픽셀 | |
한글 표기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
영문 표기 | Seoul Metropolitan Subway Gyeonggang Line |
한자 표기 | 首都圈 電鐵 京江線 |
소재국 | ![]() |
소유 | 대한민국 정부 |
운영 | ![]() |
기점 | 판교 |
종점 | 여주 |
운행 계통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4량 1편성 |
영업 거리 | 56km |
소요 시간 | 56분 |
표정 속도 | 69.3km/h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12~14분, 평상시 20분 |
개통일 | 2016년 9월 24일 |
“ | 인천의 첫 도시철도 노선 | ”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은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역과 여주시의 여주역을 잇는 광역 전철 노선이다. 운영은 한국철도공사에서 담당한다. 노선 상징색은 한국철도공사의 대표 색상인 ●코레일 블루이다.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다른 노선인 동해선 광역전철, 대구권 광역철도와 상징 색깔이 같다.
특징
성남시와 여주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라 하여 가칭 성남여주선으로 추진되다가, 2016년 개통을 앞두고 수도권과 강원도 강릉을 연결하는 경강선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이 노선의 건설로 기존에 철도 공백지역이었던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등이 수도권 광역전철의 혜택을 받게 되었다. 이 중에서 이천과 여주는 1972년 수려선 폐선 이후 44년 만에 철도가 다시 들어오게 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경기광주역, 이천역, 여주역 등의 역은 구도심과는 거리가 약간 떨어진 곳에 역을 지은 다음에 역세권 개발을 통해 도심 자체를 역 주변으로 옮겨왔다는 특징이 있다.
경강선 요금은 별도의 추가 요금 없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로 운영된다.
노선표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K410 | 판교 | - | 0.0 | 신분당 | 계양대교, 계양중학교 |
K411 | 이매 | 1.5 | 1.5 | 수인분당 | 귤현차량사업소 |
K412 | 삼동 | 6.9 | 8.4 | 인천세원고등학교 | |
K413 | 경기광주 | 4.9 | 13.3 | 임학중학교 | |
K414 | 초월 | 5.0 | 18.3 | 계산2동행정복지센터 | |
K415 | 곤지암 | 4.9 | 23.2 | 경인교육대학교 | |
K416 | 신둔도예촌 | 6.8 | 30.0 | 작전역사거리 | |
K417 | 이천 | 7.8 | 37.8 | 갈산근린공원 | |
K418 | 부발 | 4.5 | 42.3 | 부평구청, 부평세림병원 | |
K419 | 세종대왕릉 | 8.3 | 50.6 | 부평시장 | |
K420 | 여주 | 5.4 | 56.0 | 부평 문화의거리 | |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