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역
![]()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Gwanghwamun |
---|---|
한자 역명 | 光化門 |
소재지 | ![]() |
역 번호 | 533 |
운영 | ![]() |
노선 | ![]() |
승강장 구조 | 섬식 승강장 |
개역일 | 1996년 12월 30일 |
“ | 광화문광장역 | ” |
광화문역(한자: 光化門驛)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5호선의 전철역이다.
특징
서울의 중심
현재 광화문역이 위치한 광화문광장 일대는 조선 시대에 한양의 중심 역할을 한 육조거리가 있던 곳이다. 육조거리는 광화문 아래로 넓게 트여있는 거리로, 이 거리를 따라 조선의 행정기관인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가 있었다. 오늘날에도 광화문광장 주변으로는 정부서울청사 본관이 있어 이를 계승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주한미국대사관 및 주한호주대사관 등의 대사관 건물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공연시설인 세종문화회관이 있고, 한국의 근현대사를 전시하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있다.
2009년에 조성된 광화문광장은 보행자 중심의 공간으로 만들어졌으며 세종대왕 동상과 이순신 동상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광화문광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광화문역 9번 출구는 광화문역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광화문광장 남쪽 끝에서 완만한 경사로 내려가는 역 입구는 그 자체로 훌륭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광화문광장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공간으로서,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들르는 코스가 되었다. 그와 동시에, 사람이 많이 모일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시위가 벌어지는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많은 듯 많지 않은 이용객수
이렇듯 광화문역이 위치한 곳은 대한민국 서울의 역사적, 문화적, 행정적 중심지이므로 광화문역의 이용객수가 서울 도시철도 5호선의 역들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서울 전체로 보면 광화문역의 승객수는 의외로 많지 않아, 순위로 따지면 50위 내외에 머물고 있다. 이는 광화문이 다른 노선과의 환승이 이루어지지 않는, 5호선 단일 노선으로만 구성된 역이기 때문에 그렇다. 게다가 5호선 광화문역 인근에는 서울 도시철도 3호선의 경복궁역,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각역 등 광화문역을 대체할 수 있는 역들이 있어 다른 노선 이용객이라면 광화문광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굳이 5호선으로 환승하는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광화문역을 이용할 이유가 없다.
서울 지하철 5호선 | |
---|---|
본선 | |
마천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