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6호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 | |
한글 표기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영문 표기 | Seoul Subway Line 6 |
한자 표기 | 서울 地下鐵 六號線 |
소재국 | ![]() |
소유 | 서울특별시 |
운영 | ![]() |
기점 | 응암 |
종점 | 신내 |
운행 계통 | ● 서울 지하철 6호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응암~신내) 1(응암순환 구간) |
열차 편성 | 8량 1편성 |
영업 거리 | 36.4km |
표정 속도 | 30.1km/h |
개통일 | 2000년 8월 7일 |
“ | 6호선 황토색은 「행복」을 뜻합니다. 6호선을 이용하시는 고객여러분의 「행복」을 늘 기원합니다! |
” |
서울 지하철 6호선(영어: Seoul Subway Line 6, brown line)은 서울 지하철 노선 중 하나이다. 상징색은 황토색()이다.
개요
6호선은 은평구 응암역에서 출발해 순환 고리를 한 바퀴 돌아서 응암역을 다시 거쳐서 순환 노선을 빠져나온다. 이 순환 노선은 응암순환 구간이라고 부르며, 선로가 하나로 되어 있어 열차가 한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운행한다. 한강을 건너지 않으며, 마포구, 성북구 등을 거쳐 중랑구의 신내역까지 이어진 노선이다. 서울 도심지역을 남쪽으로 돌아 나오므로 다른 노선에 이용객이 지나치게 몰리는 것을 완화시켜준 역할을 한다.
6호선은 1993년 공사가 시작돼 1999년 6월 25일에 봉화산(서울의료원)역에서 상월곡(한국과학기술연구원)역을 잇는 노선이 개통했으며, 같은 해 12월에 남은 구간이 모두 개통했다. 하지만 이태원역과 약수역 사이의 4개 역은 이보다 뒤늦은 2001년 3월에 운영을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열차가 이 구간을 무정차 통과했다. 2014년은 봉화산(서울의료원)~신내역 연장 구간을 개통시켜 경춘선 전철의 신내역과 환승이 가능해졌다. 신내역은 6호선의 유일한 지상역이다.
차량
경정비는 신내차량기지에서 중정비는 7호선의 고읍차량기지에서 진행한다. 현재 6000호대 전동차는 41개 편성, 641편성 등이 7호선으로 차출된 관계로 40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노선표
역 번호 | 역 | 영어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610 | 응암 | Eungam | 0.0 | 0.0 | 서울기독대학교 | |
611 | 역촌 | Yeokcheon | 1.1 | 1.1 | 은평구청 | |
612 | 불광 | Bulgwang | 0.8 | 1.9 | ![]() |
NC백화점 불광점 불광먹자골목 |
613 | 독바위 | Dokbawi | 0.9 | 2.8 | 불광근린공원 | |
614 | 연신내 | Yeonsinnae | 1.4 | 4.2 | ![]() GTX-A |
연신내 로데오거리 |
615 | 구산 | Gusan | 0.9 | 5.1 | 역촌중앙시장 | |
610 | 응암 | Eungam | 1.5 | 6.6 | 서울기독대학교 | |
616 | 새절(신사) | Saejeol(Sinsa) | 0.9 | 7.5 | 신사근린공원 | |
617 | 증산(명지대앞) | Jeungsan(Myongjidae Ap) | 0.9 | 8.4 | 증산동 주민센터 | |
618 | 디지털미디어시티(스카이라이프) | Digital Media City(Skylife) | 1.1 | 9.5 | 경의중앙 · ![]() |
디지털미디어시티 |
619 | 월드컵경기장(성산) | Worldcup Stadium(Seongsan) | 0.8 | 10.3 | 서울월드컵경기장 | |
620 | 마포구청 | Mapo-gu Office | 0.8 | 12.9 | 마포구청 | |
621 | 망원 | Mangweon | 1.0 | 12.1 | 망리단길 | |
622 | 합정(세아타워) | Hapjeong(Sea Tower) | 0.8 | 12.9 | ![]() |
합정시장 |
623 | 상수 | Sangsu | 0.8 | 13.7 | 홍익대학교, 홍대거리 | |
624 | 광흥창(서강) | Gwangheungchang(Seogang) | 0.9 | 14.6 | 서강동 주민센터 | |
625 | 대흥(서강대앞) | Daeheung(Seogangdae Ap) | 1.0 | 15.6 | 서강대학교 | |
626 | 공덕 | Gongdeok | 0.9 | 16.5 | ![]() ![]() 경의중앙 |
공덕시장, 공덕동로터리 |
627 | 효창공원 앞 | Hyochang Park | 0.9 | 17.4 | 경의중앙 | 효창운동장 |
628 | 삼각지(전쟁기념관) | Samgakji(War Memorial of Korea) | 1.2 | 18.6 | ![]() |
전쟁기념관, 국방부 |
629 | 녹사평(용산구청) | Noksapyeong(Yongsan-gu Office) | 1.1 | 19.7 | 용산구청 | |
630 | 이태원 | Itaeweon | 0.8 | 20.5 | 이태원 거리 | |
631 | 한강진 | Hanggangjin | 1.0 | 21.5 | 서울용산국제학교 | |
632 | 버티고개 | Beotigogae | 1.0 | 22.5 | 서울송도병원 | |
633 | 약수 | Yaksu | 0.7 | 23.2 | ![]() |
약수시장 |
634 | 청구 | Cheonggu | 0.8 | 24.0 | ![]() |
청구역사거리 |
635 | 신당 | Sindang | 0.7 | 24.7 | ![]() |
서울중앙시장, 충무아트홀 |
636 | 동묘앞 | Dongmyoap | 0.6 | 25.3 | ![]() |
동묘 |
637 | 창신 | Changsin | 0.9 | 26.2 | 한성대학교 | |
638 | 보문 | Bomun | 0.8 | 26.2 | 우이 | 성북구청 |
639 | 안암(고대병원 앞) | Anam(Korea Univ. Hospital) | 0.9 | 27.9 | 고려대학교 | |
640 | 고려대(종암) | Korea Univ.(Jongam) | 0.8 | 28.7 | 고려대학교 | |
641 | 월곡(동덕여대) | Wolgok(Dongduk Women's Univ.) | 1.4 | 30.1 | 동덕여자대학교 | |
642 | 상월곡(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angwolgok(KIST) | 0.8 | 31.7 | 월곶중학교 | |
643 | 돌곶이 | Dolgoji | 0.8 | 33.5 | 한국예술종합학교 | |
644 | 석계 | Seokgye | 1.0 | 32.7 | ![]() |
두산아파트 |
645 | 태릉입구 | Taereung | 0.8 | 33.5 | ![]() |
서울공릉초등학교 |
646 | 화랑대(서울여대입구) | Hwarangdae(Seoul Wonen's University) | 0.9 | 34.4 | 서울여자대학교 | |
647 | 봉화산(서울의료원) | Bonghwasan(Seoul Medical Center) | 0.7 | 35.1 | 봉화산, 서울의료원 | |
648 | 신내 | Sinnae | 1.3 | 36.4 | 경춘 | 중랑공영차고지 |
649 | 동구릉 | Donggureung | 1. 8 | 37. 7 | ![]() |
동구릉, 롯데아울렛 구리점 |
650 | 도농 | Donong | 2. 2 | 39. 8 | 경의중앙 | 남양주시청 제2청사 |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