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개발도상국]] | + | * [[OECD]] |
− | *[[후진국]] | + | * [[개발도상국]] |
− | *[[남북격차]] | + | * [[후진국]] |
+ | * [[남북격차]] | ||
{{번역된 문서|en|developed_country}} | {{번역된 문서|en|developed_country}} | ||
[[분류:경제지리학]] | [[분류:경제지리학]] |
2015년 7월 8일 (수) 05:01 기준 최신판

2008년 기준, IMF에서 선진국(Advanced economies)으로 분류한 나라들
선진국(영어: developed country)은 고도로 발전된 경제와 진보된 기술적 인프라를 갖춘 나라이다. 선진국을 결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하는 기준으로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산업화율, 인프라, 삶의 질 등이 있다. 어떤 기준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선진국의 범위는 달라진다.
선진국은 탈공업의 경제체제를 가지고 있다. 즉, 선진국의 경제는 공업 분야보다 서비스 분야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공업 분야의 비중이 크며 후진국의 경제는 거의 농업등에만 의존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의하면 2010년 현재 선진국은 세계 전체 명목상 GDP의 65.8%, 그리고 세계 전체 구매력지수(PPP)의 52.1%를 차지하고 있다. 명목상 GDP와 구매력지수를 종합해서 봤을 때 2011년 기준 세계 최고 선진국 10개 국가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스페인, 호주, 대한민국이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