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전염성 간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블루아이.jpg|250픽셀|섬네일|개 전염성 간염의 특이적인 증상인 각막혼탁. 블루아이(blue eye) 증상이라고도 한다.]] | + | [[파일:블루아이.jpg|250픽셀|섬네일|개 전염성 간염의 특이적인 증상인 각막혼탁. 눈동자가 파란색으로 보인다고 하여 블루아이(blue eye) 증상이라고도 한다.]] |
'''개 전염성 간염'''({{llang|en|infectious canine hepatitis}}, ICH}})는 개 [[아데노바이러스]] 1형(canine adenovirus type-1, CAV-1)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 감염 질병이다. 개 이외에도 [[늑대]], [[코요테]], [[곰]], [[여우]] 등의 동물도 감염된다.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개의 분변, 오줌, 혈액, 침, 콧물 등을 통해 전파된다. 코나 입을 통해 들어온 바이러스는 [[편도]]에서 빠르게 증식한다. 이후 이 바이러스는 [[간]]과 [[신장]]을 감염시키며 여러 증상을 유발한다. [[잠복기]]는 4일 내지 7일이다. | '''개 전염성 간염'''({{llang|en|infectious canine hepatitis}}, ICH}})는 개 [[아데노바이러스]] 1형(canine adenovirus type-1, CAV-1)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 감염 질병이다. 개 이외에도 [[늑대]], [[코요테]], [[곰]], [[여우]] 등의 동물도 감염된다.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개의 분변, 오줌, 혈액, 침, 콧물 등을 통해 전파된다. 코나 입을 통해 들어온 바이러스는 [[편도]]에서 빠르게 증식한다. 이후 이 바이러스는 [[간]]과 [[신장]]을 감염시키며 여러 증상을 유발한다. [[잠복기]]는 4일 내지 7일이다. |
2015년 9월 17일 (목) 04:36 판
개 전염성 간염(영어: infectious canine hepatitis, ICH}})는 개 아데노바이러스 1형(canine adenovirus type-1, CAV-1)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 감염 질병이다. 개 이외에도 늑대, 코요테, 곰, 여우 등의 동물도 감염된다.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개의 분변, 오줌, 혈액, 침, 콧물 등을 통해 전파된다. 코나 입을 통해 들어온 바이러스는 편도에서 빠르게 증식한다. 이후 이 바이러스는 간과 신장을 감염시키며 여러 증상을 유발한다. 잠복기는 4일 내지 7일이다.
증상으로는 열, 침울, 식욕저하, 기침, 복부팽만 등이 있다. 각막 부종과 황달, 구토, 간성뇌증(간질환으로 인한 의식장애) 등의 간질환의 전형적인 증상 또한 나타날 수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혈액응고가 잘 되지 않아 입 안에 혈종이 생길 수도 있다. 2차적으로 발생하는 질병 또는 간질환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는 잠깐 앓다가 금방 회복된다. 다만 만성적인 각막 부종이나 신장 병변이 회복 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
증상과 혈액검사소견을 종합하여 진단을 내릴 수 있다. CAV-1에 대한 항체역가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 질병은 개 파보바이러스와 증상(피가 섞인 설사) 및 혈액검사소견(백혈구 수 감소)이 비슷하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다.
치료는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대부분의 개는 치료 없이도 저절로 낫지만, 어린 개는 위험할 수 있다. 예방 백신을 통한 예방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재조합 백신은 개 아데노바이러스 2형(canine adenovirus type-2, CAV-2)을 변형시켜 만든 것이다. CAV-2는 개에서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데, CAV-1과 유사하므로 이것을 접종하면 CAV-1과 CAV-2에 대해 동시에 면역이 형성된다. CAV-2 백신은 CAV-1 백신보다 부작용이 훨씬 적으므로 더 널리 사용된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백신을 한 번 접종하면 최소 4년 이상 효력이 지속된다고 한다.
CAV-1는 적절한 조건만 갖추어지면 몸 밖에서도 수개월동안 살 수 있다. 회복된 개의 오줌에서 1년까지도 검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