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특징)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특징 == | == 특징 == | ||
− | [[안철수]], [[김한길]] 등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세력과 [[천정배]] 의원을 중심으로 한 [[국민회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창당한 정당이다. 탈당 세력은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당대표를 중심으로 한 | + | [[안철수]], [[김한길]] 등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세력과 [[천정배]] 의원을 중심으로 한 [[국민회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창당한 정당이다. 탈당 세력은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당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노세력과 운동권 세력에 대한 불만 때문에 탈당을 결정했다. 정당의 성향은 [[중도]]적이며, 구체적으로는 합리적 보수와 성찰적 진보를 표방하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이 반대하고 있는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 등에 대해서 찬성하는 등 기존의 더불어민주당에 비해서 [[우익]]적인 성향이 더 강하다. | 더불어민주당이 반대하고 있는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 등에 대해서 찬성하는 등 기존의 더불어민주당에 비해서 [[우익]]적인 성향이 더 강하다. |
2016년 2월 4일 (목) 11:26 판
국민의당
| |||
| |||
상징색 | 녹색 | ||
---|---|---|---|
이념 | 중도주의 | ||
당직자
| |||
원내대표 | 주승용 |
“ | 담대한 변화가 시작됩니다! | ” |
국민의당은 안철수가 중심이 되어 2016년 2월 2일 창당한 대한민국의 중도주의 정당이다.
특징
안철수, 김한길 등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세력과 천정배 의원을 중심으로 한 국민회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창당한 정당이다. 탈당 세력은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당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노세력과 운동권 세력에 대한 불만 때문에 탈당을 결정했다. 정당의 성향은 중도적이며, 구체적으로는 합리적 보수와 성찰적 진보를 표방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반대하고 있는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 등에 대해서 찬성하는 등 기존의 더불어민주당에 비해서 우익적인 성향이 더 강하다.
거대 양당 구조를 비판하며 제3정당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지지기반
부산·경남지역 기반의 친노세력에 반발하여 탈당한 세력과 호남지역 기반의 천정배 의원이 손을 잡고 창당한 정당인 만큼, 민주당계열 정당의 전통적인 기반지역인 호남 지역에서의 지지도가 높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호남지역정당에 머물지 않고 전국정당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국민의당 소속 국회의원 17명 중 11명은 호남 의원이다.[1] 수도권 및 충청도 지역에서도 폭넓은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가 앞으로의 관건으로 보인다.
주석
- ^ 국민의당 창당 ‘중도 성향의 제3당’ 실험 앞날은… 제3당, 등장했다 사라지기 반복 정착 험난 국민일보, 2016년 2월 3일
대한민국의 원내정당 |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열 정당 | |
---|---|
해방 직후 | |
이승만 정권 | |
윤보선 정권 |
민주당(1955년 창당)* • 통일당 |
박정희 정권 | |
전두환 정권 | |
노태우 정권 (삼당합당 이전) | |
노태우 정권 (삼당합당 이후) | |
김영삼 정권 | |
김대중 정권 | |
노무현 정권 | |
이명박 정권 | |
박근혜 정권 | |
문재인 정권 | |
별표(*) 표시는 여당을 의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