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 | 서울, 인천, 경기도 | ” |
수도권(한자: 首都圈)은 대한민국의 북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전 세계에서 일본의 도쿄 일대 다음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권이다.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포함하여 부르는 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도권 전철이 아산시, 천안시(충청남도), 춘천시(강원특별자치도)까지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수도권이라 부를 수 있는 지역이 늘어났다.
수도권의 인구는 2,500만 명 내외므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50%가 대한민국 전체 국토의 12%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이 중 1,000만 명은 서울특별시에, 250만 명은 인천광역시에 거주한다. 이렇게 인구가 고도로 밀집된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가 되고 있다.
지리[편집]
수도권을 가로지르는 한강 주변으로 평야 및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비옥한 곡창지대였지만, 지금은 농사짓기에는 땅값이 워낙 비싸므로 농업은 많이 쇠퇴하였다. 예를 들어 조선에서 가장 큰 곡창지대였던 김포평야 일대에는 현재 김포시, 부천시, 일산시 등의 도시가 들어서 있다. 다만 비교적 좁은 땅에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화훼 단지나 신선도가 중요한 채소의 생산은 이뤄지고 있다.
수도권정비계획법[편집]
1970~80년대 수도권 지역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인구가 급증하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이에 수도권이 질서 없이 개발되는 것을 막고,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82년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시행하였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은, 수도권을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별로 규제에 차별을 두는 것이다.
- 과밀억제권역: 인구와 산업이 지나치게 집중되었거나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하거나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
- 성장관리권역: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와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 자연보전권역: 한강 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수도권의 집중도[편집]
다음은 각 분야에서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이 대한민국의 문화, 산업, 경제, 금융의 중심지라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며, 동시에 수도권의 지나친 과밀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분야 | 집중도 | 그래프 |
---|---|---|
면적 | 11.8% | ![]() ![]() ![]() ![]() ![]() ![]() ![]() |
인구 | 49% | ![]() ![]() ![]() ![]() ![]() ![]() ![]() |
요양기관 수 | 50.0% | ![]() ![]() |
서비스업 종사자 수 | 53.6% | ![]() ![]() ![]() ![]() ![]() ![]() ![]() |
외국인 수 | 65.1% | ![]() ![]() ![]() ![]() ![]() |
백화점 판매액 | 68.1% | ![]() ![]() ![]() ![]() ![]() ![]() ![]() |
예금은행 대출금액 | 72.3% | ![]() ![]() ![]() ![]() ![]() ![]() ![]() ![]() ![]() |
- 국가통계포털, 2009~2010
교통[편집]
수도권의 도시들은 거미줄처럼 얽힌 고속도로 및 철도망으로 탄탄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주위를 원형으로 한 바퀴 도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 지역의 교통난 해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공항인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공항이 이곳에 위치해 있으며, 항구로는 인천항이 위치해 있어 각각 항공교통 및 해상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지역 | |
---|---|
공업지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