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8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차량반입 송파연결선)
(역 목록)
70번째 줄: 70번째 줄:
 
! 805
 
! 805
 
| [[다산역|다산]]
 
| [[다산역|다산]]
 +
| Dasan
 
| 3.0
 
| 3.0
 
| 3.0
 
| 3.0
77번째 줄: 78번째 줄:
 
! 806
 
! 806
 
| [[동구릉역|동구릉]]
 
| [[동구릉역|동구릉]]
 +
| Donggureung
 
| 1.8
 
| 1.8
 
| 4.8
 
| 4.8
105번째 줄: 107번째 줄:
 
! 810
 
! 810
 
| [[암사역|암사]]
 
| [[암사역|암사]]
 +
| Amsa
 
| 1.1
 
| 1.1
 
| 12.5
 
| 12.5
129번째 줄: 132번째 줄:
 
| 16.3
 
| 16.3
 
|
 
|
| 몽촌호수, 세계평화의문
+
| 몽촌호수, 세계평화의 문
 
|-
 
|-
 
! 814
 
! 814
147번째 줄: 150번째 줄:
 
! 816
 
! 816
 
| [[송파역|송파]]
 
| [[송파역|송파]]
 +
| Songpa
 
| 0.9
 
| 0.9
 
| 19.2
 
| 19.2
168번째 줄: 172번째 줄:
 
! 819
 
! 819
 
| [[장지역|장지]]
 
| [[장지역|장지]]
 +
| Jangji
 
| 0.9
 
| 0.9
 
| 21.8
 
| 21.8
189번째 줄: 194번째 줄:
 
! 822
 
! 822
 
| [[산성역|산성]]
 
| [[산성역|산성]]
 +
| Sanseong
 
| 1.2
 
| 1.2
 
| 25.4
 
| 25.4
210번째 줄: 216번째 줄:
 
! 825
 
! 825
 
| [[신흥역(성남)|신흥]]
 
| [[신흥역(성남)|신흥]]
 +
| Sinheung
 
| 0.8
 
| 0.8
 
| 28.3
 
| 28.3
217번째 줄: 224번째 줄:
 
! 826
 
! 826
 
| [[수진역|수진]]
 
| [[수진역|수진]]
 +
| Sujin
 
| 0.9
 
| 0.9
 
| 29.2
 
| 29.2

2025년 3월 31일 (월) 17:22 판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지하철8호선.jpg
한글 표기 서울 지하철 8호선
영문 표기 Seoul Subway Line 8
한자 표기 서울 地下鐵 八號線
소재국 태극기.png 대한민국
소유 서울특별시
운영 서울교통공사.png
기점 별내(삼육대학교)
종점 모란
운행 계통 서울 지하철 8호선
궤간 1,435㎜ (표준궤)
선로 2
열차 편성 6량 1편성
영업 거리 30.2km
소요 시간 51분
표정 속도 36.2km/h
배차 간격 출퇴근시간 4~5분, 평상시 8분
개통일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8호선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상징 색깔은 분홍색이다.

특징

1990~1999년에 걸쳐 공사가 이루어진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 동남부(강동구, 송파구)와 성남시 구도심(수정구, 중원구), 구리시 지역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서울을 지나는 구간이 짧고 성남시와 구리시를 지난 구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수인분당선, 신분당선과 함께 성남시민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리 및 남양주시민이 강남 방면으로 갈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노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30.2km).

역사

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71년 광주대단지 사건 시위대를 달래기 위한 수단이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탄생은 성남시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박정희 정권 시절이었던 1960년대 후반, 정부에서는 서울의 무허가 빈민촌을 철거하고 그 주민들을 현재의 성남시로 강제 이주시켰다. 그러나 당시 허허벌판이었던 성남 지역으로 내쫓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그러다 결국, 1971년 8월 10일에 성남 주민 수만 명이 들고 일어나 도시를 점령하고 공권력을 무력화시키는 사태가 발생하였다(광주대단지 사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 사항들을 수용하게 됐다. 이때 정부가 성남 주민들을 달래기 위해 약속한 것 중 하나가 교통 편의를 위한 성남 전철이었고, 이 약속은 오늘날의 서울 지하철 8호선으로 실현되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90년에 착공하여 1996년 10월 11일에 잠실(송파구청)역에서 모란역남위례역에 이른 구간이 개통하다가 지상역이다. 1999년 7월 1일에 모란역에서 암사역까지의 잔여 구간이 개통하였다. 2024년 6월 29일에 암사역에서 별내별가람역에 이른 구간이 개통, 구리와 남양주 별내신도시를 커버한 노선으로 거듭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8호선의 역들은 대부분 지하에 있으나 복정(동서울대학교)역산성역 사이에 짧은 지상구간이 있다. 이 지상 구간에 위례신도시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21년남위례역을 신설하였다. 이 역은 8호선 최초의 지상역이다.

차량

차량반입 송파연결선

당초 계획은 분당선 복정(동서울대학교)역, 모란역에 연결선을 설치하거나,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송파구청)역에 연결선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세 곳 모두 하천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로 취소됐다. 결국 가락시장역 북쪽 송파사거리에서 서울 도시철도 5호선 방이역 사이에 기존 강동권 지하공동구 터널 하단부에 연결선을 설치해 현대로템경부선남영역서울역동묘앞역성수역신도림역까치산역방이역가락시장역을 거쳐 모란차량사업소로 운반했다.

역 목록

역 번호 영어 역간 거리 누적 거리 환승 노선 인접시설
803 별내별가람 - 9.8 Seoul Metro Line 4.png 남양주덕송초등학교
804 별내(삼육대학교) 1. 3 0.0  경춘  이마트 별내점
805 다산 Dasan 3.0 3.0 다산신도시
806 동구릉 Donggureung 1.8 4.8 Seoul Metro Line 6.png 동구릉, 롯데아울렛 구리점
807 구리(구리전통시장) 1.2 6.0  경의중앙  롯데백화점 구리점, 구리전통시장,
구리시외버스 정류장
808 장자호수공원 1.9 7.9 장자호수공원, 구리고등학교
809 암사역사공원 3.5 11.4 암사역사공원, 선사고등학교
810 암사 Amsa 1.1 12.5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811 천호(풍납토성) 1.3 13.8 Seoul Metro Line 5.png 천호뉴타운, 천호동 로데오거리,
풍납토성
812 강동구청 0.9 14.7 강동구청
813 몽촌토성(평화의 문) 1.6 16.3 몽촌호수, 세계평화의 문
814 잠실(송파구청) 0.8 17.1 Seoul Metro Line 2.png 롯데월드, 송파구청
815 석촌(한솔병원) 1.2 18.3 Seoul Metro Line 9.png 서울석촌동고분군
816 송파 Songpa 0.9 19.2 가락시영아파트
817 가락시장 0.8 20.0 Seoul Metro Line 3.png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
818 문정 0.9 20.9 문정동 로데오거리
819 장지 Jangji 0.9 21.8 가든파이브
820 복정(동서울대학교) 0.9 22.7  수인분당  송파 IC
821 남위례 1.5 24.2 위례신도시
822 산성 Sanseong 1.2 25.4 신흥주공아파트
823 남한산성입구(성남법원·검찰청) 1.3 26.7 수원지방법원·검찰청 성남지원,
성남중앙병원
824 단대오거리(신구대학교) 0.8 27.5 단대오거리
825 신흥 Sinheung 0.8 28.3 신흥사거리, 성남우체국
826 수진 Sujin 0.9 29.2 수진1동주민센터, 성일고등학교,
동광고등학교
827 모란 Moran 1.0 30.2  수인분당  모란사거리, 성남종합운동장
수도권 전철 노선
중전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1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경춘선 신분당선 경강선
서해선 GTX-A
경전철
의정부 용인 인천자기*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김포골드 신림선
*휴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