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림역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영등포삼태극.png 신도림 (1호선)구로 대림삼태극.png 신도림 (2호선)문래 (시점)삼태극.png 신도림 (신정지선)도림천
신도림역승강장2025.jpg
1호선 2번 승강장
신도림역승강장2호선2025.jpg
2호선 본선 승강장
로마자 역명 Sindorim
한자 역명 新道林
소재지 태극기.png 서울특별시 구로구
역 번호 140 (1호선)
234 (2호선)
운영 코레일 로고.png

서울교통공사.png

노선 Seoul Metro Line 1.png · Seoul Metro Line 2.png
개역일 1984년 5월 22일

신도림역(한자: 新道林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역사[편집]

신도림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역이다. 신도림역은 2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1984년에 환승역으로 추가 개통한 역이다. 환승 편의를 위해 추가 개통하였다는 점에서 인근의 신길역과 유사한 사례에 해당한다. 신도림역 개통 당시 신도림역 주변은 공장 지대로서, 현재 디큐브시티가 있는 곳에 남부저탄장이 있어 연탄을 비축 및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애초에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을 기존의 영등포역 대신 신도림역으로 정한 이유도 일부러 역 자체 이용객이 적은 곳에 환승역을 만들어 환승객의 혼잡을 줄이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교통의 중심지가 된 신도림역 주변은 1990년대를 지나며 대단지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역 자체 이용객 수도 늘어나게 되었다. 그렇잖아도 많은 환승객으로 몸살을 앓던 신도림역은 이제 역 자체 이용객까지 더해져, 더욱 강도높은 헬게이트가 되었다.

2015년에는 신도림역 선상 역사가 개통하며 역 자체 이용객의 경우 선상 역사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할 수 있는 경로가 생겼다.

특징[편집]

헬도림[편집]

신도림역은 전국에서 가장 환승객이 많은 역으로, 수도권 전철망에서 가장 중요한 노선인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인 신도림역은 시간대를 가리지 않고 항상 환승객들로 붐비는 역이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사람들에게 떠밀려 자동으로 환승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의 높은 혼잡도를 자랑한다. 이 때문에 신도림역에는 헬(Hell)도림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오늘날에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 늘어나면서 김포공항역처럼 5개 노선이 만나는 환승역들도 생겨났으나, 신도림역은 고작 2개 노선이 만나는 환승역 주제에 다른 역들 다 제치고 1984년 개통 직후부터 지금까지 환승객수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앞으로는 GTX-B 노선까지 개통하게 되면 환승객 혼잡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1호선 승강장[편집]

영등포

| | | 34 | | |

구로
승강장 번호 노선 열차 방면
1 상행 완행 · 급행열차 서울역·광운대·연천 방면
2 하행 완행 · 급행열차 인천·서동탄·천안 방면
3 상행 광명셔틀 · 급행 · 특급열차 영등포·용산 방면
4 하행 광명셔틀 · 급행 · 특급열차 동인천·광명 방면

2호선 승강장[편집]

대림

| | 12 | |

도림천 ↓ /문래
승강장 번호 노선 방면
3 신정지선 양천구청·까치산 방면
1 내선순환 합정·시청 방면
2 외선순환 사당·강남 방면
4 당역 출발 사당·강남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