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역(부천)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부천 ← 중동 → 송내
중동역2025.jpg
중동역 역사
중동역승강장2025.jpg
연천방면 승강장
로마자 역명 Jung-dong
한자 역명 富川
소재지 태극기.png 경기도 부천시
역 번호 149
운영 코레일 로고.png
노선 Seoul Metro Line 1.png
개역일 1987년 12월 31일

중동역(한자: 富川驛)은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중동이지만 석유는 나지 않는다.

역사[편집]

중동역 주변은 1970년대까지 논밭이 펼쳐진 미개발지로 남아 있었다. 참고로 중동역과 거의 붙어있는 부천서초등학교는 1968년 개교한 것으로, 중동역 주변 개발 이전까지는 홀로 이곳을 지키고 있었다. 중동역 주변은 1980년대에 주거지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1987년에 중동역이 경인선의 전철역으로 추가 개통하였다. 이 역은 행정구역상 부천시 송내동에 위치해 있는데, 이미 송내역은 존재했으므로 이 역의 이름은 인근의 지역명인 중동을 따라 중동역이 되었다.

1990년대에 중동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중동역은 중동신도시까지 커버하는 역이 되었다. 1997년에는 경인선 2복선화에 따라 중동역도 재건축되었다. 다만, 중동역은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게 됨에 따라 급행정차역인 송내역, 부천역에 크게 밀려났다.

2012년에 서울 도시철도 7호선온수역에서 중동신도시를 지나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되면서, 중동신도시 교통수요는 7호선에서 커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동역의 이용객수는 약간 감소하였다. 오늘날 "중동"이라는 지명은 1990년대에 개발된 중동신도시 일대, 즉 7호선 부천시청역신중동역 주변을 가리키는 말로 주로 사용되므로 중동역이라는 역명은 실제 지명과 동떨어지게 되었다.

특징[편집]

두 고래(송내역, 부천역) 사이에 끼인 역[편집]

중동역 주변은 1980년대 개발된 주거지역으로, 대단지 아파트들이 여럿 있어 인구 자체는 매우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동역의 이용객수는 매우 적은데, 이는 중동역이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역인데다가 연계 버스노선도 매우 부실하기 때문에 그렇다. 중동역은 남쪽과 북쪽으로 2개의 출구를 갖고 있는데 두 출구 모두 골목길로 나 있으며 이에 따라 버스를 타고 중동역으로 가려면 어느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든 골목길을 따라 5~10분 정도 더 걸어가야 역이 나온다. 버스-지하철간 선상 환승센터가 있는 송내역이나 부천의 중심 상권을 거느린 부천역과 비교하면 조건이 극과 극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동역 이용객은 중동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중동역 초역세권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버스를 타고 중동역으로 갈 바에는 송내역이나 부천역으로 가는 것이 백번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