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선
직결 운행 노선에 대해서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한글 표기 | 분당선 |
---|---|
영문 표기 | Bundang Line |
한자 표기 | 盆唐線 |
소재국 | 대한민국 |
소유 | 대한민국 정부 |
운영 | |
기점 | 청량리 |
종점 | 수원 |
운행 계통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6량 1편성 |
영업 거리 | 55.3km |
소요 시간 | 1시간 30분 |
표정 속도 | 37km/h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4분, 평상시 8분 (왕십리~죽전 구간 기준) |
개통일 | 1994년 9월 1일 |
“ | 서울 - 성남 - 용인 - 수원 | ” |
분당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원래 성남시의 분당신도시에서 서울 강남으로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계획된 노선이므로 분당선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그러나 이후 몇 차례의 연장개통을 거치면서 분당선은 분당선이라는 이름이 무색해질 정도로 넓은 지역의 교통을 담당하는 긴 노선이 되었다. 이 노선은 서울 동부의 청량리역에서 시작하여 한강을 지하터널로 건넌 뒤, 강남구를 거쳐 성남시(분당신도시 포함), 용인시를 차례로 지나가며 수원역에서 끝난다.
분당선은 1994년 9월 수서역과 오리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최초 개통하였다. 2003년 9월에 수서역에서 선릉역에 이르는 구간이 연장개통하였다. 2004년 11월 26일에는 분당선 차량기지 근처에 보정역이 추가로 개역하여 임시 종점역이 되었다. 2007년 12월 24일, 오리역과 보정역 사이에 죽전역이 추가되었다. 2011년 12월 28일, 구성역, 신갈역, 기흥역이 추가 개통되었으며 기존의 보정역은 위치를 바꾸어 다시 개역하였다. 2012년 10월 6일, 분당선이 한강을 건너 북쪽으로 왕십리역까지 연장되었으며, 2012년 12월 1일에는 남쪽으로 망포역까지 연장되었다. 2013년 11월 30일, 수원역까지 연장되어 수원역을 통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서 분당선은 첫 구간개통 20년 만에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완전개통과 동시에 급행 전철의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9월부터 수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에 이르는 단일 노선인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만들어졌다.
역간 거리가 짧고 지하 구간이 대부분이며, 장거리보다는 단거리 이동에 적합한 노선이라는 점을 보았을 때 지하철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하지만 이 노선은 공식적으로 지하철이 아닌 광역전철로 분류가 되어 있다. 실제로 다른 광역전철들과 마찬가지로 차량통행방향이 좌측이고, 교류 전력을 통해 동력을 공급받는다.
국토교통부 고시 한국철도거리표에 의한 노선번호는 304이다.
운영[편집]
왕십리역-죽전역 구간에는 출퇴근시간 4분, 평상시 8분 간격으로 열차가 투입된다. 왕십리역-수원역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전체의 절반 정도이다. 2019년부터는 평일의 일부 열차가 왕십리역이 아닌 청량리역을 기점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다.
평일 출퇴근시간에는 급행열차가 운행된다. 분당선 급행열차는 왕십리역에서 죽전역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며, 이후 구간에서는 기흥역, 망포역, 수원시청역, 수원역에서만 정차한다.
차량[편집]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가 분당선에 투입되고 있다. 1세대 차량(차량번호 351-01~351-22)은 분당선 개통과 동시에 투입된 차량이며, 이 차량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투입되는 것과 같은 차량이다(색깔만 다르게 칠해져 있다). 2세대 차량(차량번호 351-23~351-28)은 분당선이 수서~선릉역 구간으로 연장 개통되었을 때 투입된 차량이며, 3세대 차량(차량번호 351-23~351-28)은 추가 연장개통에 이어 현재 도입되고 있는 차량이다. 3세대 차량은 수인선에 투입되는 열차와 동일한 열차이다(수인선 직결운행을 대비하기 위함이었다).
노선표[편집]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비고 |
---|---|---|---|---|---|---|
K209 | 청량리 | -2.4 | 경의중앙 · 경춘 · |
청과시장, 서울시립대학교 | ||
K210 | 왕십리 | 2.4 | 0.0 | 경의중앙 · · |
성동구청, 행당시장 | |
K211 | 서울숲 | 2.2 | 2.2 | 서울숲 | ||
K212 | 압구정로데오 | 1.9 | 4.1 | 압구정로데오거리 | ||
K213 | 강남구청 | 1.2 | 5.3 | 강남구청 | ||
K214 | 선정릉 | 0.7 | 6.0 | 선릉 | ||
K215 | 선릉 | 0.7 | 6.7 | 선릉역교차로 | ||
K216 | 한티 | 1.0 | 7.7 | 롯데백화점 강남점 | ||
K217 | 도곡 | 0.7 | 8.4 | 타워팰리스 | ||
K218 | 구룡 | 0.6 | 9.0 | 개포고등학교 | ||
K219 | 개포동 | 0.7 | 9.7 | 개포디지털혁신파크 | ||
K220 | 대모산입구 | 0.6 | 10.3 | 개원중학교 | ||
K221 | 수서 | 3.0 | 13.3 | 수서역(SRT), 이마트 수서점 | ||
K222 | 복정 | 3.2 | 16.5 | 송파구 지역순환공원, 서울국제학교 | ||
K223 | 가천대 | 2.4 | 18.9 |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
K224 | 태평 | 1.0 | 19.9 | 태평1동주민센터 | ||
K225 | 모란 | 0.9 | 20.8 | 풍생고등학교, 성남종합운동장 | ||
K226 | 야탑 | 2.3 | 23.1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탄천종합운동장 | ||
K227 | 이매 | 1.7 | 24.8 | 경강 | 성남아트센터 | |
K228 | 서현 | 1.4 | 26.2 | AK 플라자 분당점, 분당구청 | ||
K229 | 수내 | 1.1 | 27.3 | 한국잡월드 | ||
K230 | 정자 | 1.6 | 28.9 | 신분당 | 정자동 카페골목 | |
K231 | 미금 | 1.8 | 30.7 | 신분당 | 성남고용센터,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 |
K232 | 오리 | 1.1 | 31.8 | 성남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
||
K233 | 죽전 | 1.8 | 33.6 |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 ||
K234 | 보정 | 1.3 | 34.9 | 보정고등학교 | ||
K235 | 구성 | 1.6 | 36.5 | 마북지구 | ||
K236 | 신갈 | 1.6 | 38.1 | 기흥도서관 | ||
K237 | 기흥 | 1.4 | 39.5 | 용인 | 기흥구청 | |
K238 | 상갈 | 1.9 | 41.4 | 아모레퍼시픽, 한국민속촌 | ||
K239 | 청명 | 2.8 | 44.2 | 청명고등학교 | ||
K240 | 영통 | 1.1 | 45.3 | 홈플러스 영통점,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
K241 | 망포 | 1.5 | 46.8 | 망포지구 | ||
K242 | 매탄권선 | 1.8 | 48.6 | 화홍고등학교 | ||
K243 | 수원시청 | 1.4 | 50.0 | 수원시청, 경기도문화의전당, 갤러리아백화점 수원점, 수원 올림픽공원 |
||
K244 | 매교 | 1.4 | 51.4 | 수원고등학교 | ||
K245 | 수원 | 1.5 | 52.9 | 수원역 로데오거리, 롯데몰 수원점 | ||
이후 수인선과 직결 운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