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
직결 운행 노선에 대해서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 |
한글 표기 | 수인선 |
---|---|
영문 표기 | Suin Line |
한자 표기 | 水仁線 |
소재국 | ![]() |
운영 | ![]() |
기점 | 수원 |
종점 | 인천 |
운행 계통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6량 1편성 |
영업 거리 | 52.3㎞ |
표정 속도 | 44.2km/h(완행) 51.9km/h(급행) |
개통일 | 1937년 8월 5일(단선 협궤열차) 2012년 6월 30일(복선 전철화) |
“ | 수인선 협궤열차 황혼길로 사라져가네 | ” |
수인선(한자: 水仁線, 영어: Suin Line)은 인천광역시 중구 소재의 인천역과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수원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2020년 9월 12일부터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여,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협궤 시절[편집]
본래 수인선은 경동철도주식회사가 1935년 9월 23일 부설 허가를 받고 그로부터 2년후인 1937년 8월 6일 정식 개통하여 운영하던 사철로 수원역에서 수려선 (수원~여주)과 접속하여 이천, 여주 등지에서 생산된 쌀과 소래포구에서 생산된 소금을 수탈하여 인천항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맡았으나 42번 국도가 완공된 1977년 9월 1일부터는 화물 운행이 중단됐다.
수인선은 궤간이 762mm인 협궤 노선이었으며 1972년 4월 1일, 수려선의 폐선 이후에는 대한민국에 남아 있던 유일한 협궤 노선이 되었다. 개통 초기, 수인선은 흑자를 내기도 했으나 1940년 적자로 전환되었고, 1942년에는 조선철도주식회사에 매각되어 경동선으로 개칭되었다.
1981년 기준, 수인선의 영업계수는 2825에 달했다. 1986년에는 그나마 적자폭이 줄어 들어 영업계수가 743이 되었지만[1] 얼마 지나지 않아 수지가 악화되어 1991년에는 3368, 1992년에는 4814에 달했다.
적자를 이기지 못하고 구간이 계속 축소되던 수인선은 1994년 9월 1일에는 한대앞~소래 구간의 영업이 중지되었다. 한편 1996년 1월 1일에는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수원~한대앞 구간마저 영업이 중지되었다. 본래 계획은 수인선을 표준궤 복선 전철로 개궤하여 1999년부터 영업을 재개할 예정이었으나, 외환위기 등의 영향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했고 그 와중에 수인선 연선 주변이 개발되면서 철로가 철거되었다가 영업 중지 16년 182일후(착공 7년 6개월 후[2])인 2012년 6월 30일에 표준궤 복선전철로 부활하여 영업이 재개되었다.
선로의 상당 부분이 유실되어 그 기능을 할 수 없음에도 폐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공식적으로 수인선은 폐선이 아닌 영업 중지선으로 처리가 되어서 철도거리표에도 계속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수인선 열차의 폭은 2.15m로 현재의 의정부 경전철 차량보다 약간 넓은 편(이쪽은 2.08m)인데 쓰레기 차와 부딪혀 탈선한 적도 있다(...)
1995년 12월 31일 마지막 운행 당시, 수인선의 열차 운행 횟수는 왕복 3회로 수원역에서 6시 30분, 13시 30분, 18시 30분에 하행 열차가 출발했으며, 한대앞역에서 7시 30분, 14시 30분, 19시 30분에 상행 열차가 출발하였다. 당시 요금은 250원이었다.
17년만에 돌아온 수인선[편집]
수인선은 경기도 수원시의 수원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 사이를 잇고 있으며, 중간에 소래포구를 거쳐 가기 때문에 이 지역의 관광객이 크게 늘어나는 요인이 되었다. 수인선 노선 전 구간(수원~인천)의 운행거리는 52.3km, 소요시간은 1시간 11분으로 예전에 같은 구간에서 버스를 타면 2시간이 걸리던 것과 비교해 볼 때, 경이로운 수준이다. 인천~시흥 구간에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는다. 인천에서 시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통행하기 위해서는 구로역과 금정역에서 두 차례 환승을 해야 했으며, 환승 및 열차 대기 시간을 제외한 순 이동 시간만 90분 이상에 달할 정도였으나, 수인선의 부활 이후 3분의 1 가까이로 이동 시간이 줄어들었다. 물론 수인선 배차 간격이 제법 긴 건 고려해야 한다.
노선 상징색은 분당선과 동일한 노란색(●)이다. 2020년 9월에 수인선의 잔여 구간인 수원역~한대앞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원역에서 분당선과 접속, 이를 이용하여 분당선과 직결 운행하고 있다. 어천역~송도역 구간은 지상구간이며, 수원역~오목천역, 송도역~인천역 구간은 지하구간이다.
거리표[편집]
역 | 역 번호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비고 |
---|---|---|---|---|---|---|
이전 분당선과 직결 운행 | ||||||
K245 | 수원 | 1.5 | 52.9 | ![]() |
수원역 로데오거리, 롯데몰 수원점 | ![]() |
K246 | 고색 | 2.7 | 55.6 | 고색초등학교, 서울대학교 수원수목원 | ||
K247 | 오목천 | 1.6 | 57.2 | 영신여자고등학교, 서수원 체육공원 | ||
K248 | 어천 | 5.1 | 62.3 | 화성어천공공주택지구 (예정) | ||
K249 | 야목 | 1.4 | 64.9 | 매송휴게소 | ||
K250 | 사리 | 4.7 | 69.6 | 사곡중학교 | ||
K251 | 한대앞[3] | 2.2 | 71.8 | ![]() |
한대앞역삼거리 | |
K252 | 중앙 | 1.6 | 73.4 | ![]() |
안산중앙역 로데오거리, 안산버스터미널 | |
K253 | 고잔 | 0.6 | 74.8 | ![]() |
안산와스타디움 | |
K254 | 초지 | 1.5 | 76.3 | ![]() |
단원구청 | |
K255 | 안산 | 1.8 | 78.1 | ![]() |
안산청소년수련원 | |
K256 | 신길온천 | 2.2 | 80.3 | ![]() |
안산신길온천개발지구 | |
K257 | 정왕 | 1.9 | 82.2 | ![]() |
시흥고용센터 | |
K258 | 오이도 | 2.4 | 84.6 | ![]() |
배곧신도시 | |
K259 | 달월 | 3.6 | 86.7 | 한국철도공사 시흥차량사업소 | ||
K260 | 월곶 | 3.6 | 88.2 | 마린월드, 월곶포구, 소래염전 | ||
K261 | 소래포구 | 1.3 | 89.5 | 소래포구, 소래어시장 | ||
K262 | 인천논현 | 1.0 | 90.5 | 논현택지지구 | ||
K263 | 호구포 | 1.3 | 91.8 | 호구포 근린공원, 남동인더스파크 | ||
K264 | 남동인더스파크 | 1.3 | 93.1 | 남동인더스파크, 남동근린공원 | ||
K265 | 원인재 | 1.0 | 94.1 | 인천1 | 원인재, 연수체육공원 | |
K266 | 연수 | 0.9 | 95.0 | 메가박스 연수점, 문화공원 | ||
K267 | 송도 | 2.7 | 97.7 | 옥련국제사격장 | ||
K269 | 인하대 | 2.4 | 100.1 | 인하대학교 | ||
K270 | 숭의 | 1.8 | 101.9 | 인하대병원 | ||
K271 | 신포 | 1.5 | 103.4 | 인천항 제2국제여객선터미널 | ||
K272 | 인천 | 1.1 | 104.5 | ![]() |
인천차이나타운, 인천 중구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