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8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역 목록)
(역 목록)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운영 = {{철도회사|서울교통공사}}
 
|운영 = {{철도회사|서울교통공사}}
 
|위탁 운영 =
 
|위탁 운영 =
|기점 = [[별내역|별내]]
+
|기점 = [[별내(삼육대학교)역|별내<small>(삼육대학교)</small>]]
 
|종점 = [[모란역|모란]]
 
|종점 = [[모란역|모란]]
 
|운행 계통 = <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8}}">●</font> 서울 지하철 8호선
 
|운행 계통 = <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8}}">●</font> 서울 지하철 8호선
20번째 줄: 20번째 줄:
 
|표정 속도 = 36.2km/h
 
|표정 속도 = 36.2km/h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4~5분, 평상시 8분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4~5분, 평상시 8분
|개통일 = 1996년 11월 23일
+
|개통일 = 1996년 10월 11일
|폐선일 =
 
 
}}
 
}}
  
29번째 줄: 28번째 줄:
  
 
== 특징 ==
 
== 특징 ==
1990년~1999년에 걸쳐 공사가 이루어진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 동남부([[강동구]], [[송파구]])와 [[성남시]] 구도심([[수정구]], [[중원구]]), [[구리시]] 지역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서울을 지나는 구간이 짧고 성남시와 구리시를 지나는 구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수인분당선]], [[신분당선]]과 함께 성남시민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리 및 남양주시민이 강남 방면으로 갈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
1990~1999년에 걸쳐 공사가 이루어진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 동남부([[강동구]], [[송파구]])와 [[성남시]] 구도심([[수정구]], [[중원구]]), [[구리시]] 지역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서울을 지나는 구간이 짧고 성남시와 구리시를 지난 구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수인분당선]], [[신분당선]]과 함께 성남시민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리 및 남양주시민이 강남 방면으로 갈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노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30.2km).
 
서울 지하철 노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30.2km).
36번째 줄: 35번째 줄:
 
[[파일:광주대단지사건.jpg|300픽셀|섬네일|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71년 [[광주대단지 사건]] 시위대를 달래기 위한 수단이었다.]]
 
[[파일:광주대단지사건.jpg|300픽셀|섬네일|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71년 [[광주대단지 사건]] 시위대를 달래기 위한 수단이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탄생은 [[성남시]]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박정희]] 정권 시절이었던 1960년대 후반, 정부에서는 [[서울]]의 무허가 빈민촌을 철거하고 그 주민들을 현재의 성남시로 강제 이주시켰다. 그러나 당시 허허벌판이었던 성남 지역으로 내쫓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그러다 결국, 1971년 8월 10일에 성남 주민 수만 명이 들고 일어나 도시를 점령하고 공권력을 무력화시키는 사태가 발생하였다([[광주대단지 사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 사항들을 수용하게 되었다. 이때 정부가 성남 주민들을 달래기 위해 약속한 것 중 하나가 교통 편의를 위한 '''성남 전철'''이었고, 이 약속은 오늘날의 서울 지하철 8호선으로 실현되었다.  
+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탄생은 [[성남시]]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박정희]] 정권 시절이었던 1960년대 후반, 정부에서는 [[서울]]의 무허가 빈민촌을 철거하고 그 주민들을 현재의 성남시로 강제 이주시켰다. 그러나 당시 허허벌판이었던 성남 지역으로 내쫓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그러다 결국, 1971년 8월 10일에 성남 주민 수만 명이 들고 일어나 도시를 점령하고 공권력을 무력화시키는 사태가 발생하였다([[광주대단지 사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 사항들을 수용하게 됐다. 이때 정부가 성남 주민들을 달래기 위해 약속한 것 중 하나가 교통 편의를 위한 '''성남 전철'''이었고, 이 약속은 오늘날의 서울 지하철 8호선으로 실현되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90년에 착공하여 1996년 11월에 [[잠실역]]에서 [[모란역]]에 이르는 구간이 개통하였다. 1999년 7월에 모란역에서 [[암사역]]까지의 잔여 구간이 개통하였다. 2024년 8월에 암사역에서 [[별내역]]에 이르는 구간이 개통, 구리와 남양주 별내신도시를 커버하는 노선으로 거듭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90년에 착공하여 1996년 10월 11일에 [[잠실(송파구청)역]]에서 [[모란역]] 및 [[남위례역]]에 이른 구간이 개통하다가 지상역이다. 1999년 7월 1일에 모란역에서 [[암사역]]까지의 잔여 구간이 개통하였다. 2024년 6월 29일에 [[암사역]]에서 [[별내별가람역]]에 이른 구간이 개통, 구리와 남양주 별내신도시를 커버한 노선으로 거듭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8호선의 역들은 대부분 지하에 있으나 [[복정역]]과 [[산성역]] 사이에 짧은 지상구간이 있다. 이 지상 구간에 [[위례신도시]]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21년]]에 [[남위례역]]을 신설하였다. 이 역은 8호선 최초의 지상역이다.
+
8호선의 역들은 대부분 지하에 있으나 [[복정(동서울대학교)역]]과 [[산성역]] 사이에 짧은 지상구간이 있다. 이 지상 구간에 [[위례신도시]]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21년]]에 [[남위례역]]을 신설하였다. 이 역은 8호선 최초의 지상역이다.
 +
 
 +
== 차량 ==
 +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
 
 +
=== 차량반입 송파연결선 ===
 +
당초 계획은 [[분당선]] [[복정(동서울대학교)역]], [[모란역]]에 연결선을 설치하거나,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송파구청)역]]에 연결선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세 곳 모두 하천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로 취소됐다. 결국 [[가락시장역]] 북쪽 송파사거리에서 [[서울 도시철도 5호선]] [[방이역]] 사이에 기존 강동권 지하공동구 터널 하단부에 연결선을 설치해 [[현대로템]] → [[경부선]] → [[남영역]] → [[서울역]] → [[동묘앞역]] → [[성수역]] → [[신도림역]] → [[까치산역]] → [[방이역]] → [[가락시장역]]을 거쳐 [[모란차량사업소]]로 운반했다.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역 번호 !! 역 !! 영어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8}}; height: 2pt"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8}}; height: 2pt"
| colspan = "6" |
+
| colspan = "7" |
 +
|-
 +
! 803
 +
| [[별내별가람역|별내별가람]]
 +
| ByeollaeByeolgaram
 +
| -
 +
| 9.8
 +
| {{지하철|서울|4}}
 +
| 남양주덕송초등학교
 
|-
 
|-
 
! 804
 
! 804
| [[별내역|별내<small>(삼육대학교)</small>]]
+
| [[별내(삼육대학교)역|별내<small>(삼육대학교)</small>]]
| -
+
| Byeollae<small>(Samyook University)</small>
 +
| 1. 3
 
| 0.0
 
| 0.0
 
| {{지하철|서울|경춘}}
 
| {{지하철|서울|경춘}}
58번째 줄: 72번째 줄:
 
! 805
 
! 805
 
| [[다산역|다산]]
 
| [[다산역|다산]]
 +
| Dasan
 
| 3.0
 
| 3.0
 
| 3.0
 
| 3.0
65번째 줄: 80번째 줄:
 
! 806
 
! 806
 
| [[동구릉역|동구릉]]
 
| [[동구릉역|동구릉]]
 +
| Donggureung
 
| 1.8
 
| 1.8
 
| 4.8
 
| 4.8
|  
+
| {{지하철|서울|6}}
 
| 동구릉, 롯데아울렛 구리점
 
| 동구릉, 롯데아울렛 구리점
 
|-
 
|-
 
! 807
 
! 807
| [[구리역|구리<small>(구리전통시장)</small>]]
+
| [[구리(구리전통시장)역|구리<small>(구리전통시장)</small>]]
 +
| Guri<small>(Guri Traditional Market)</small>
 
| 1.2
 
| 1.2
 
| 6.0
 
| 6.0
79번째 줄: 96번째 줄:
 
! 808
 
! 808
 
| [[장자호수공원역|장자호수공원]]
 
| [[장자호수공원역|장자호수공원]]
 +
| Jangja Lake Park
 
| 1.9
 
| 1.9
 
| 7.9
 
| 7.9
86번째 줄: 104번째 줄:
 
! 809
 
! 809
 
| [[암사역사공원역|암사역사공원]]
 
| [[암사역사공원역|암사역사공원]]
 +
| Amsa History Park
 
| 3.5
 
| 3.5
 
| 11.4
 
| 11.4
93번째 줄: 112번째 줄:
 
! 810
 
! 810
 
| [[암사역|암사]]
 
| [[암사역|암사]]
 +
| Amsa
 
| 1.1
 
| 1.1
 
| 12.5
 
| 12.5
99번째 줄: 119번째 줄:
 
|-
 
|-
 
! 811
 
! 811
| [[천호역|천호<br><small>(풍납토성)</small>]]
+
| [[천호(풍납토성)역|천호<small>(풍납토성)</small>]]
 +
| Cheonho<small>(Pungnaptoseong)</small>
 
| 1.3
 
| 1.3
 
| 13.8
 
| 13.8
107번째 줄: 128번째 줄:
 
! 812
 
! 812
 
| [[강동구청역|강동구청]]
 
| [[강동구청역|강동구청]]
 +
| Gangdong-gu Office
 
| 0.9
 
| 0.9
 
| 14.7
 
| 14.7
113번째 줄: 135번째 줄:
 
|-
 
|-
 
! 813
 
! 813
| [[몽촌토성역|몽촌토성<br><small>(평화의문)</small>]]
+
| [[몽촌토성(평화의 문)역|몽촌토성<small>(평화의 문)</small>]]
 +
| Mongchontoseong<small>(World Peace Gate)</small>
 
| 1.6
 
| 1.6
 
| 16.3
 
| 16.3
 
|
 
|
| 몽촌호수, 세계평화의문
+
| 몽촌호수, 세계평화의 문
 
|-
 
|-
 
! 814
 
! 814
 
| [[잠실(송파구청)역|잠실<small>(송파구청)</small>]]
 
| [[잠실(송파구청)역|잠실<small>(송파구청)</small>]]
 +
| Jamsil<small>(Songpa-gu Office)</small>
 
| 0.8
 
| 0.8
 
| 17.1
 
| 17.1
127번째 줄: 151번째 줄:
 
|-
 
|-
 
! 815
 
! 815
| [[석촌역|석촌]]
+
| [[석촌(한솔병원)역|석촌<small>(한솔병원)</small>]]
 +
| Seokchon<small>(Hansol Hospital)</small>
 
| 1.2
 
| 1.2
 
| 18.3
 
| 18.3
135번째 줄: 160번째 줄:
 
! 816
 
! 816
 
| [[송파역|송파]]
 
| [[송파역|송파]]
 +
| Songpa
 
| 0.9
 
| 0.9
 
| 19.2
 
| 19.2
142번째 줄: 168번째 줄:
 
! 817
 
! 817
 
| [[가락시장역|가락시장]]
 
| [[가락시장역|가락시장]]
 +
| Garak Market
 
| 0.8
 
| 0.8
 
| 20.0
 
| 20.0
149번째 줄: 176번째 줄:
 
! 818
 
! 818
 
| [[문정역|문정]]
 
| [[문정역|문정]]
 +
| Munjeong
 
| 0.9
 
| 0.9
 
| 20.9
 
| 20.9
156번째 줄: 184번째 줄:
 
! 819
 
! 819
 
| [[장지역|장지]]
 
| [[장지역|장지]]
 +
| Jangji
 
| 0.9
 
| 0.9
 
| 21.8
 
| 21.8
162번째 줄: 191번째 줄:
 
|-
 
|-
 
! 820
 
! 820
| [[복정역|복정]]
+
| [[복정(동서울대학교)역|복정<small>(동서울대학교)</small>]]
 +
| Bokjeong<small>(Dongseoul Univ.)</small>
 
| 0.9
 
| 0.9
 
| 22.7
 
| 22.7
170번째 줄: 200번째 줄:
 
! 821
 
! 821
 
| [[남위례역|남위례]]
 
| [[남위례역|남위례]]
 +
| Namwirye
 
| 1.5
 
| 1.5
 
| 24.2
 
| 24.2
177번째 줄: 208번째 줄:
 
! 822
 
! 822
 
| [[산성역|산성]]
 
| [[산성역|산성]]
 +
| Sanseong
 
| 1.2
 
| 1.2
 
| 25.4
 
| 25.4
183번째 줄: 215번째 줄:
 
|-
 
|-
 
! 823
 
! 823
| [[남한산성입구역|남한산성입구<br><small>(성남법원·검찰청)</small>]]
+
| [[남한산성입구(성남법원·검찰청)역|남한산성입구<small>(성남법원·검찰청)</small>]]
 +
| Namhansanseong<small>(Seongnam Court & Prosecutor's Office)</small>
 
| 1.3
 
| 1.3
 
| 26.7
 
| 26.7
190번째 줄: 223번째 줄:
 
|-
 
|-
 
! 824
 
! 824
| [[단대오거리역|단대오거리]]
+
| [[단대오거리(신구대학교)역|단대오거리<small>(신구대학교)</small>]]
 +
| Dandaeogeori<small>(Shingu College)</small>
 
| 0.8
 
| 0.8
 
| 27.5
 
| 27.5
198번째 줄: 232번째 줄:
 
! 825
 
! 825
 
| [[신흥역(성남)|신흥]]
 
| [[신흥역(성남)|신흥]]
 +
| Sinheung
 
| 0.8
 
| 0.8
 
| 28.3
 
| 28.3
205번째 줄: 240번째 줄:
 
! 826
 
! 826
 
| [[수진역|수진]]
 
| [[수진역|수진]]
 +
| Sujin
 
| 0.9
 
| 0.9
 
| 29.2
 
| 29.2
212번째 줄: 248번째 줄:
 
! 827
 
! 827
 
| [[모란역|모란]]
 
| [[모란역|모란]]
 +
| Moran
 
| 1.0
 
| 1.0
 
| 30.2
 
| 30.2
218번째 줄: 255번째 줄: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8}}; height: 2pt"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8}}; height: 2pt"
| colspan = "6" |
+
| colspan = "7" |
 
|-
 
|-
 
|}
 
|}

2025년 3월 31일 (월) 17:32 기준 최신판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지하철8호선.jpg
한글 표기 서울 지하철 8호선
영문 표기 Seoul Subway Line 8
한자 표기 서울 地下鐵 八號線
소재국 태극기.png 대한민국
소유 서울특별시
운영 서울교통공사.png
기점 별내(삼육대학교)
종점 모란
운행 계통 서울 지하철 8호선
궤간 1,435㎜ (표준궤)
선로 2
열차 편성 6량 1편성
영업 거리 30.2km
소요 시간 51분
표정 속도 36.2km/h
배차 간격 출퇴근시간 4~5분, 평상시 8분
개통일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8호선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상징 색깔은 분홍색이다.

특징[편집]

1990~1999년에 걸쳐 공사가 이루어진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 동남부(강동구, 송파구)와 성남시 구도심(수정구, 중원구), 구리시 지역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서울을 지나는 구간이 짧고 성남시와 구리시를 지난 구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수인분당선, 신분당선과 함께 성남시민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리 및 남양주시민이 강남 방면으로 갈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노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30.2km).

역사[편집]

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71년 광주대단지 사건 시위대를 달래기 위한 수단이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탄생은 성남시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박정희 정권 시절이었던 1960년대 후반, 정부에서는 서울의 무허가 빈민촌을 철거하고 그 주민들을 현재의 성남시로 강제 이주시켰다. 그러나 당시 허허벌판이었던 성남 지역으로 내쫓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그러다 결국, 1971년 8월 10일에 성남 주민 수만 명이 들고 일어나 도시를 점령하고 공권력을 무력화시키는 사태가 발생하였다(광주대단지 사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 사항들을 수용하게 됐다. 이때 정부가 성남 주민들을 달래기 위해 약속한 것 중 하나가 교통 편의를 위한 성남 전철이었고, 이 약속은 오늘날의 서울 지하철 8호선으로 실현되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은 1990년에 착공하여 1996년 10월 11일에 잠실(송파구청)역에서 모란역남위례역에 이른 구간이 개통하다가 지상역이다. 1999년 7월 1일에 모란역에서 암사역까지의 잔여 구간이 개통하였다. 2024년 6월 29일에 암사역에서 별내별가람역에 이른 구간이 개통, 구리와 남양주 별내신도시를 커버한 노선으로 거듭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8호선의 역들은 대부분 지하에 있으나 복정(동서울대학교)역산성역 사이에 짧은 지상구간이 있다. 이 지상 구간에 위례신도시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21년남위례역을 신설하였다. 이 역은 8호선 최초의 지상역이다.

차량[편집]

차량반입 송파연결선[편집]

당초 계획은 분당선 복정(동서울대학교)역, 모란역에 연결선을 설치하거나,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송파구청)역에 연결선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세 곳 모두 하천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로 취소됐다. 결국 가락시장역 북쪽 송파사거리에서 서울 도시철도 5호선 방이역 사이에 기존 강동권 지하공동구 터널 하단부에 연결선을 설치해 현대로템경부선남영역서울역동묘앞역성수역신도림역까치산역방이역가락시장역을 거쳐 모란차량사업소로 운반했다.

역 목록[편집]

역 번호 영어 역간 거리 누적 거리 환승 노선 인접시설
803 별내별가람 ByeollaeByeolgaram - 9.8 Seoul Metro Line 4.png 남양주덕송초등학교
804 별내(삼육대학교) Byeollae(Samyook University) 1. 3 0.0  경춘  이마트 별내점
805 다산 Dasan 3.0 3.0 다산신도시
806 동구릉 Donggureung 1.8 4.8 Seoul Metro Line 6.png 동구릉, 롯데아울렛 구리점
807 구리(구리전통시장) Guri(Guri Traditional Market) 1.2 6.0  경의중앙  롯데백화점 구리점, 구리전통시장,
구리시외버스 정류장
808 장자호수공원 Jangja Lake Park 1.9 7.9 장자호수공원, 구리고등학교
809 암사역사공원 Amsa History Park 3.5 11.4 암사역사공원, 선사고등학교
810 암사 Amsa 1.1 12.5 한강공원 광나루지구
811 천호(풍납토성) Cheonho(Pungnaptoseong) 1.3 13.8 Seoul Metro Line 5.png 천호뉴타운, 천호동 로데오거리,
풍납토성
812 강동구청 Gangdong-gu Office 0.9 14.7 강동구청
813 몽촌토성(평화의 문) Mongchontoseong(World Peace Gate) 1.6 16.3 몽촌호수, 세계평화의 문
814 잠실(송파구청) Jamsil(Songpa-gu Office) 0.8 17.1 Seoul Metro Line 2.png 롯데월드, 송파구청
815 석촌(한솔병원) Seokchon(Hansol Hospital) 1.2 18.3 Seoul Metro Line 9.png 서울석촌동고분군
816 송파 Songpa 0.9 19.2 가락시영아파트
817 가락시장 Garak Market 0.8 20.0 Seoul Metro Line 3.png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
818 문정 Munjeong 0.9 20.9 문정동 로데오거리
819 장지 Jangji 0.9 21.8 가든파이브
820 복정(동서울대학교) Bokjeong(Dongseoul Univ.) 0.9 22.7  수인분당  송파 IC
821 남위례 Namwirye 1.5 24.2 위례신도시
822 산성 Sanseong 1.2 25.4 신흥주공아파트
823 남한산성입구(성남법원·검찰청) Namhansanseong(Seongnam Court & Prosecutor's Office) 1.3 26.7 수원지방법원·검찰청 성남지원,
성남중앙병원
824 단대오거리(신구대학교) Dandaeogeori(Shingu College) 0.8 27.5 단대오거리
825 신흥 Sinheung 0.8 28.3 신흥사거리, 성남우체국
826 수진 Sujin 0.9 29.2 수진1동주민센터, 성일고등학교,
동광고등학교
827 모란 Moran 1.0 30.2  수인분당  모란사거리, 성남종합운동장
수도권 전철 노선
중전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1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경춘선 신분당선 경강선
서해선 GTX-A
경전철
의정부 용인 인천자기*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김포골드 신림선
*휴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