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노선표)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철도 노선 | {{철도 노선 | ||
|노선 = 정선선 | |노선 = 정선선 | ||
− | |배경색 = # | + |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그림 = [[파일:아우라지역.jpg|300픽셀]]<br>[[A-train]](정선아리랑열차)의 시·종착역인 [[아우라지역]]<br>[[파일:정선선2.png|300픽셀]] | |그림 = [[파일:아우라지역.jpg|300픽셀]]<br>[[A-train]](정선아리랑열차)의 시·종착역인 [[아우라지역]]<br>[[파일:정선선2.png|300픽셀]] | ||
|한글 표기 = 정선선 | |한글 표기 = 정선선 | ||
|영문 표기 = Jeongseon Line | |영문 표기 = Jeongseon Line | ||
|한자 표기 = 旌善線 | |한자 표기 = 旌善線 | ||
− | |소재국 = | + | |소재국 = {{태극기}} [[대한민국]]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위탁 운영 = | |위탁 운영 = | ||
|기점 = [[민둥산역]] | |기점 = [[민둥산역]] | ||
− | |종점 = [[구절리역]] | + | |종점 = [[구절리역]] |
|운행 계통 = [[태백선]]의 지선 | |운행 계통 = [[태백선]]의 지선 | ||
|궤간 = 1,435㎜ (표준궤) | |궤간 = 1,435㎜ (표준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대사|정선 아리랑의 발상지로 향하는 철도 노선}} | {{대사|정선 아리랑의 발상지로 향하는 철도 노선}} | ||
− | '''정선선'''은 [[민둥산역]]과 [[구절리역]]을 잇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에서는 정규 열차로는 유일하게 [[A-train]](정선아리랑열차)가 민둥산-아우라지 구간에서 1일 왕복 2회 운행하고 있다. 아우라지 지역은 두 물줄기가 서로 만나서 '어우러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정선아리랑]]의 발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우라지-구절리 7.2km 구간에서는 [[정선레일바이크]]가 | + | '''정선선'''은 [[민둥산역]]과 [[구절리역]]을 잇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에서는 정규 열차로는 유일하게 [[A-train]](정선아리랑열차)가 민둥산-아우라지 구간에서 1일 왕복 2회 운행하고 있다. 아우라지 지역은 두 물줄기가 서로 만나서 '어우러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정선아리랑]]의 발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우라지-구절리 7.2km 구간에서는 [[정선레일바이크]]가 운영하고 있으며, 정규 열차 운행은 이뤄지지 않는다. |
== 노선표 == | == 노선표 ==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 |- |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
− | |- style = "background:# |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colspan = "7" | | | colspan = "7" | | ||
|- | |-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철도 링크|A}} | |{{철도 링크|A}} | ||
|{{철도 링크|태백선}} | |{{철도 링크|태백선}} | ||
− | | rowspan="7"| [[ | + | | rowspan="7"| [[강원특별자치도]] |
| rowspan="7"| [[정선군]] | | rowspan="7"| [[정선군]] | ||
|- | |- | ||
75번째 줄: | 75번째 줄: | ||
| | | | ||
|- | |- | ||
− | |- style = "background:# | + | !([[구절리역]]) |
+ | |7.2 | ||
+ | |45.9 | ||
+ | | | ||
+ | | | ||
+ | |- | ||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 colspan = "7" | | | colspan = "7" | | ||
|- | |- |
2024년 3월 19일 (화) 22:34 기준 최신판
![]() A-train(정선아리랑열차)의 시·종착역인 아우라지역 ![]() | |
한글 표기 | 정선선 |
---|---|
영문 표기 | Jeongseon Line |
한자 표기 | 旌善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민둥산역 |
종점 | 구절리역 |
운행 계통 | 태백선의 지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
영업 거리 | 45.9km |
소요 시간 | 1시간 5분 (민둥산-아우라지, A-train) |
표정 속도 | 36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2편 운행 (〃) |
개통일 | 1966년 1월 10일 |
“ | 정선 아리랑의 발상지로 향하는 철도 노선 | ” |
정선선은 민둥산역과 구절리역을 잇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에서는 정규 열차로는 유일하게 A-train(정선아리랑열차)가 민둥산-아우라지 구간에서 1일 왕복 2회 운행하고 있다. 아우라지 지역은 두 물줄기가 서로 만나서 '어우러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정선아리랑의 발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우라지-구절리 7.2km 구간에서는 정선레일바이크가 운영하고 있으며, 정규 열차 운행은 이뤄지지 않는다.
노선표[편집]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괄호)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민둥산 | 0.0 | 0.0 | A | 태백선 | 강원특별자치도 | 정선군 |
별어곡 | 6.4 | 6.4 | A | |||
선평 | 7.3 | 13.7 | A | |||
정선 | 8.9 | 22.6 | A | |||
나전 | 10.0 | 32.6 | A | |||
아우라지 | 6.1 | 38.7 | A | |||
(구절리역) | 7.2 | 45.9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