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평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300픽셀|섬네일|하늘에서 바라본 호남평야. 가운데 흐르는 강은 [[만경강이다.]] '''김포평야'''({{llang|ko-Hani|金...)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김포평야항공뷰.jpg|300픽셀|섬네일|하늘에서 바라본 호남평야. 가운데 흐르는 강은 [[만경강]]이다.]] | [[파일:김포평야항공뷰.jpg|300픽셀|섬네일|하늘에서 바라본 호남평야. 가운데 흐르는 강은 [[만경강]]이다.]] | ||
− | '''김포평야'''({{llang|ko-Hani|金浦平野}}는 [[한강]]의 [[하구]] 및 [[굴포천]] 유역에 발달한 평야이다. | + | '''김포평야'''({{llang|ko-Hani|金浦平野}})는 [[한강]]의 [[하구]] 및 [[굴포천]] 유역에 발달한 평야이다. |
== 특징 == | == 특징 == |
2024년 5월 24일 (금) 13:10 판

하늘에서 바라본 호남평야. 가운데 흐르는 강은 만경강이다.
김포평야(한자: 金浦平野)는 한강의 하구 및 굴포천 유역에 발달한 평야이다.
특징
행정구역상으로 경기 김포시·고양시·부천시·파주시, 서울 강서구, 인천 부평구·계양구에 해당한다. 고대로부터 쌀 경작지로 널리 이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김포평야에서 난 쌀이 임금님께 진상되었다. 5,000년 전의 탄화된 볍씨가 이 곳에서 출토되는 등, 김포평야는 한반도 최초의 쌀 재배지로 생각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서울의 관문인 김포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있으며, 수도권의 확장으로 상당 부분이 도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