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25px" 문자열을 "{{태극기}}" 문자열로)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이전역명 = [[개화산역|개화산]] | |이전역명 = [[개화산역|개화산]] | ||
|이전역명2 = [[개화역|개화]] | |이전역명2 = [[개화역|개화]] | ||
− | |이전역명3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 | |이전역명3 = [[파일:삼태극.png|20픽셀]]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다음역명 = [[송정역(서울)|송정]] | |다음역명 = [[송정역(서울)|송정]] | ||
|다음역명2 = [[공항시장역|공항시장]] | |다음역명2 = [[공항시장역|공항시장]] | ||
− | |다음역명3 = [[계양역|계양]] | + | |다음역명3 = [[파일:삼태극.png|20픽셀]] [[계양역|계양]] |
|로마자 역명 =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로마자 역명 =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
|한자 역명 = 金浦空港 | |한자 역명 = 金浦空港 |
2016년 2월 2일 (화) 12:00 판
![]() 5호선 승강장 | |
![]() 9호선 승강장 (지하3층) | |
로마자 역명 |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
한자 역명 | 金浦空港 |
소재지 | ![]() |
역 번호 | 512 (5호선) 902 (9호선) A06 (공항철도) |
운영 | ![]() |
노선 | 틀:서울도시철도 링크 · 틀:서울도시철도 링크 · 틀:서울도시철도 링크 |
일 평균 승차 | 8,451명 (5호선, 2013년) 8,828명 (9호선, 2013년) 6,351명 (공항철도, 2013년)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5호선) 2면 3선 (지하3층) 1면 2선 (지하4층) |
개역일 | 1996년 3월 20일 (5호선) 2009년 7월 24일 (9호선) 2007년 3월 23일 (공항철도) |
김포공항역(한자: 金浦空港驛)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에 있는 도시철도역으로서,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이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김포공항 이용객을 위해 만들어진 도시철도역이다. 김포공항역은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와 국제선 청사 사이에 있으며, 두 청사와는 각각의 환승통로로 이어져 있으며, 덤으로 이마트(옛 국내선청사)/한국공항공사로 가는 환승통로도 따로 있다. 롯데몰로 가려면 국제선 청사쪽으로 가는 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5호선 역사와 9호선+공항철도 역사 2개의 역사로 구성된다. 때문에 9호선과 공항철도 사이에는 평면환승이 가능하지만 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꽤나 고생해야 한다. 앞으로 소사-대곡-원사선과 김포경전철이 개통하면 김포공항역은 무려 5개의 전철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 된다. 지하던전을 만들 셈인가...
승강장
5호선 승강장
개화산 ↑ |
하 | | 상 |
↓ 송정 |
- 상행 : 틀:수도권전철 링크 방화 방면
- 하행 : 틀:수도권전철 링크 상일동 방면 · 마천 방면
9호선/공항철도 승강장
섬식 승강장이므로 같은 층 승강장간의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지하 3층
계양(공항철도)/개화(9호선) |
| | | |
↓디지털미디어시티(공항철도)/공항시장(9호선)↓ |
- 공항철도 : 틀:수도권전철 링크 서울역 방면
- 9호선(북) : 틀:수도권전철 링크 신논현 방면 · 신논현 급행
- 9호선(남) : 사용하지 않음
지하 4층
↑계양(공항철도)/개화(9호선)↑ |
| | |
디지털미디어시티(공항철도)/공항시장(9호선) |
- 공항철도 : 틀:수도권전철 링크 인천국제공항 방면
- 9호선 : 틀:수도권전철 링크 개화 방면
같이 보기
서울 지하철 5호선 | |
---|---|
본선 | |
마천지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
인천국제공항철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