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세대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전후세대는 참혹한 전쟁과 전쟁 직후의 극심한 빈곤속에서도 살아남았다.

전후세대(한자: 戰後世代) 또는 산업화세대한국전쟁(1950-1953)을 어린 시절에 직접 경험한 1940년대 및 195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를 의미한다.

특징

일제강점기 말기에 태어나 전쟁과 전쟁 직후의 극심한 혼란과 빈곤 속에서도 잡초 같은 생명력을 발휘하여 살아남은 세대이다. 절대 빈곤 속에서 굶어 죽지나 않으면 다행인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니 제대로 된 교육은 받지도 못했다. 전후세대는 정신력과 생존력이 가장 강한 세대이며, 아랫세대들에게는 빈곤을 되물림 할 수 없다는 이들의 헝그리정신은 1960~70년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한강의 기적)에 큰 기여를 하였다. 돈을 벌기 위해 서독으로 나가서 간호사광부로 취직하는 등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라면 온갖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근로기준법이 준수되지 않는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평생 죽도록 일만 해 왔으나, 정작 본인들은 경제성장의 열매를 맛보기 전에 일찌감치 사회 일선에서 물러났다.

전후세대는 자신들에 대한 자부심이 굉장하며, 자신들의 피땀으로 이뤄낸 풍요 속에 편안하게 자라난 이후세대들을 끈기가 없다, 게으르다, 검소하지 않다는 식으로 비난하기도 한다.

정치성향은 매우 보수적이며, 특히 한국전쟁을 경험한 만큼 북한에 대한 적개심이 깊다. 한국전쟁 당시 국군을 도와주고, 전쟁당시 피난민들에게 구호물자를 보내준 미국에 대해서는 아주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의 여파로 악감정을 가지는 동시에 경제 발전의 롤 모델이 되면서 증오와 동경의 감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자녀 세대인 386 세대와는 정치적 성향이 정반대여서 마찰을 빚기도 한다. 그래도 전후세대는 대학 진학률이 높은 386세대를 배운 사람으로 생각하여 자녀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386 세대가 하는 말들을 다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일단 젊은 애들이 그렇게 말을 하니까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믿는 경향이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70~80대의 노년층을 구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