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에볼라환자.jpg|300픽셀|섬네일|침대에 누워 있는 에볼라 환자와 두 명의 간호사. 사진 속의 환자는 수 일 후에 극심한 내부장기 출혈로인해 사망하였다.]]
 
[[파일:에볼라환자.jpg|300픽셀|섬네일|침대에 누워 있는 에볼라 환자와 두 명의 간호사. 사진 속의 환자는 수 일 후에 극심한 내부장기 출혈로인해 사망하였다.]]
  
{{대사|인류 대재앙의 서막?}}
+
{{대사|전염되기전에 숙주가 죽는 질병}}
  
'''에볼라''' 또는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간의 질병이다. 증상은 주로 바이러스와 접촉한지 2일에서 3주 후에 나타나며, 초기에는 [[열]], 목의 통증,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구역질]], 구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와 동반하여 [[간]]과 [[신장]]의 기능이 망가진다. 이때쯤이면 [[출혈]]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
'''에볼라''' 또는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간의 질병이다. 증상은 주로 바이러스와 접촉한지 2일에서 3주 후에 나타나며, 초기에는 [[열]], 목의 통증,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구역질]], 구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와 동반하여 [[간]]과 [[신장]]의 기능이 망가진다. 이때쯤이면 [[출혈]]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전염되기전에 숙주가 죽는 질병으로도 인터넷 상에서 널리 알려져있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은 질병이다.
  
 
== 원인과 진단 ==
 
== 원인과 진단 ==

2014년 8월 1일 (금) 21:25 판

침대에 누워 있는 에볼라 환자와 두 명의 간호사. 사진 속의 환자는 수 일 후에 극심한 내부장기 출혈로인해 사망하였다.

에볼라 또는 에볼라 출혈열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간의 질병이다. 증상은 주로 바이러스와 접촉한지 2일에서 3주 후에 나타나며, 초기에는 , 목의 통증,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구역질, 구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와 동반하여 신장의 기능이 망가진다. 이때쯤이면 출혈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전염되기전에 숙주가 죽는 질병으로도 인터넷 상에서 널리 알려져있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은 질병이다.

원인과 진단

이 질병은 주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원숭이나 과일박쥐 등의 동물의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하여 사람에게 전염된다. 과일박쥐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바이러스를 오랫동안 몸에 지니고 다니며 다른 동물들에게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사람 대 사람으로의 감염이 가능하다. 에볼라 감염을 진단할 때에는 에볼라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인 말라리아, 콜레라, 바이러스성 출혈열 등과 먼저 구별을 해내야 한다. 이후 감염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바이러스 입자나 RNA, 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생성여부를 확인하여 진단을 확정한다.

예방

에볼라 예방의 첫 걸음은 에볼라에 감염되었을지도 모르는 원숭이와 돼지를 조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감염이 확인된 동물은 즉시 살처분 한 후 사체를 적절하게 처리하여야 한다. 에볼라 창궐 지역에서는 고기를 만질 때 적절한 보호복을 입어야 하고, 또한 고기를 잘 익혀서 먹어야 한다. 감염된 사람에게 접근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절한 보호복을 갖춰 입고 손 씻기에 신경 써야 한다. 감염된 사람에서 나온 체액이나 조직을 다룰 때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 예후, 역학

이 질병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의료진이 에볼라 감염자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은 구강 또는 수액을 통한 적절한 수분보충 외에 전무하다. 이 질병에 감염된 사람 중 50%-90%는 사망할 정도로 치사율이 높다. 이 질병은 아프리카 중앙부에 위치한 나라인 수단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열대지방에서 창궐하고 있다. 1976년에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지금까지 매년마다 1,000명 이하의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다.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은 역대 최악의 에볼라 유행으로 손꼽히며,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등의 서아프리카 국가들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백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는 개발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같이 보기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virus disease Ebola virus disease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