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병리학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수의병리학(한자: 獸醫病理學)은 동물의 조직과 체액을 검사함으로서 질병을 진단하는 수의학의 한 분야이다. 의학에서의 병리학과 마찬가지로, 수의병리학은 크게 해부병리학임상병리학의 두 분과로 구분된다. 수의병리학은 반려동물, 식용동물, 동물원 동물, 야생동물, 실험동물 등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다.

수의해부병리학[편집]

해부병리학은 육안적, 현미경적, 분자적 검사를 통해 동물의 기관, 조직, 전신(부검)을 확인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학문이다. 미국, 유럽, 일본, 인도 등에서는 공인된 시험을 통하여 수의병리전문의를 인증하는 제도가 있다. 미국의 수의병리학자 인증 시험은 육안병리학, 현미경병리학, 수의병리학, 일반병리학의 네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부병리학자는 진단, 교육, 연구, 의약 등의 분야에서 근무한다.

수의임상병리학[편집]

임상병리학혈액, 오줌, 체강 유출물, 채취된 조직 등의 시료를 화학적, 미생물학적, 혈액학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학문이다. 미국, 유럽, 일본, 인도 등에서는 공인된 시험을 통하여 수의임상병리전문의를 인증하는 제도가 있다. 미국의 수의임상병리학자 인증 시험은 일반병리학, 세포학 및 외과병리학, 혈액학, 임상화학 등의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임상병리학자는 진단병리학, 수의 및 의학 교육, 연구, 의약 등의 분야에서 근무한다.

같이 보기[편집]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Veterinary_pathology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