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중동포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재중동포

재중동포(在中同胞)는 중국에 살고 있는 한국인 또는 한민족이다. 외교부의 「재외동포현황」에 따르면 2023년 기준 210만 명의 재중동포가 있다. 재중동포는 과거에는 해외동포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으나, 한국에 정착하는 재중동포가 늘어나면서 2019년을 기점으로 재중동포 수가 재미동포 수에 밀리게 되었다. 중국 국적을 취득한 재중동포는 대부분 지린 성, 헤이룽장 성, 랴오닝 성 등 중국 동북부에 살고 있다.

'조선족', 재중동포[편집]

조선족(중국어: 朝鲜族)이라는 용어는 중국 내에 있는 한국인을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취급하여 부르는 것이다.

즉, ‘조선족’은 중국의 입장에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재미동포,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재일동포라 부르듯이 ‘중국에 있는 한민족’라는 의미의 재중동포로 부르는 편이 더 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 적다.

근래에 언론이나 공식석상에서는 조선족이라는 용어 대신에 재중동포라는 용어를 의식적으로 사용하려고 하는 추세이다.

역사[편집]

1860-70년대에 함경도 지역에서 심한 가뭄으로 인해 흉년이 들자 국경지대에 살던 조선인들이 압록강두만강을 건너서 인구가 적고 땅이 비옥한 간도지역에 정착한 것이 오늘날 재중동포의 시초이다. 이는 청나라와 조선 사이의 국경 분쟁으로까지 번졌다. 그러던 것이 1885년, 청나라가 북간도 지역 일부를 조선인 개간구역으로 지정, 조선인들의 정착을 허용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조선인 이주가 시작되었다. 1885년부터 1910년 한일병합 이전까지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26만 명으로 추정된다.

1910년 한일병합 이후에는 일제의 토지 개혁으로 인하여 농사 지을 땅을 빼앗긴 농민들이 비어있는 땅을 찾아서 간도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1910년부터 1928년까지 48만 명에 이르는 조선인이 이주하였을 정도로 조선인 이주민의 수가 급증하였다. 국경을 넘은 조선인들 중에는 농민뿐만 아니라,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고자 하는 망명 독립투사들도 많았다. 1920년 6월에는 대한독립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크게 승리한 봉오동 전투가 간도 지역에서 전개되기도 하였다.

1931년 일제는 만주사변을 일으켜 간도를 포함한 중국 동북부 지역에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우고 대륙 침략의 전진기지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일제는 ‘만주개척운동’이라는 이름하에 정책적으로 한국인을 만주국으로 집단 이주시켰다. 이 정책에 따라 재중동포의 수는 1945년에 216만 명까지 급증하였다. 일제의 극심한 식량수탈에 신음하고 있던 조선의 농민들은 막연한 희망을 가지고 간도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일본군과 독립군이 충돌하는 만주국의 사회상은 혼란하기 짝이 없었으며 여기에 민족 간 갈등까지 겹치면서 간도 내 조선인들의 삶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1938년 창설된 한국인 무장독립단체인 조선의용대는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전투를 전개하였으며, 중일전쟁에도 함께 참여하였다. 조선의용대는 해방 이후 북한의 조선인민군의 모태가 되었다.

1945년에 한국이 일제로부터 해방되면서, 216만 명 중 절반 정도(100만 여명)는 한국으로 돌아오는 것을 선택하였지만, 나머지 절반은 중국에 그대로 머무는 것을 선택하였다. 중국은 중국에 남은 한국인들을 중국 내 소수민족으로 규정하고, ‘조선족’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해방 이후 벌어진 국공내전(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에서 중국에 남아 있던 조선의용대는 국민당을 배격하고, 토지개혁을 지지하는 공산당을 도와서 전쟁에 적극 참여하였다. 재중동포는 새로운 중국 건설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서, 중국 공민으로서 상당한 대우를 받는 소수민족이 되었다.

중국 내 위상[편집]

재중동포는 중국 내에서 상당히 ‘대접받는’ 소수민족에 속한다. 교육 수준이 높고, 생활수준도 괜찮은 편이고, 정치적으로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인정받고 있다.

교육적으로는 민족교육을 실시하여 한국의 말과 전통문화를 잘 보존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 한글을 배우는 것은 물론이고 대학입시도 한국어로 보며, 조선 민족교육을 표방하는 종합대학교인 연변대학교가 설립되어 있다. 조선족은 중국 내 소수민족 중에서 문맹률이 낮고 대학진학률이 높은 편에 속한다.

조선족 자치구 지역은 고도성장 과정에서 개발에서 소외된 지역이기 때문에 기반산업이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1992년에 한중수교가 채결되면서 재중동포의 경제상황도 개선되었다. 중국으로 진출한 한국기업이 재중동포를 채용하고 나섰으며, 경제활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조선족 기업도 크게 번창하였다. 한편으로는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서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내 대도시나 한국으로 이주하는 재중동포가 늘어나고 있다.

정치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받고 있고, 재중동포의 정치활동에도 제약을 두고 있지 않지만 중앙정치계에서 재중동포의 활동은 미미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