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재일동포(在日同胞)는 일본에 살고 있는 한국인이다. 일본에서는 재일한국인(일본어: 在日韓國人, 자이니치 칸코쿠진) 또는 재일조선인(일본어: 在日朝鮮人, 자이니치 조센진)으로 부른다. 줄여서 자이니치(在日)로 부르기도 한다.

한일국교 정상화 시점인 1965년을 기준으로 해서, 그 이전에 일본에 온 사람들을 올드커머(old comer), 그 이후에 온 사람들을 뉴커머(new comer)로 따로 구분해서 부르기도 한다. 올드커머의 경우 대부분 일제강점기에 일본시민으로서 일본 본토로 이주한 사람으로서, 현재 대부분 특별영주자 신분으로 일본에 거주하고 있다.

재일동포는 국적 상태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조선적으로 구분된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시민권자로서 일본에 온 사람들의 경우, 1945년에 해방이 되어 한반도가 무국가 상태가 되면서 무국적자가 되었다. 그래서 이들은 ‘출신국가’가 아닌 ‘출신지명’에 따라 조선적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1948년에 대한민국이 수립되면서 재일동포는 대한민국 국적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어느 나라의 국적도 취득하지 않고 조선적(무국적자)으로 남아 있는 사람도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나라로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외에 일본 국적을 취득하여 일본에 귀화한 한국인도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이들까지도 재일동포로 볼 수 있다.

역사[편집]

관동대지진 당시의 신문기사. 「관동일대를 떠들썩하게 한 조선인 폭동의 정체는 이것 - 방화, 살인, 폭행, 약탈에 교량파괴도 계획한 불한당」
조총련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조선학교. 김일성·김정일 초상화가 교실 앞쪽에 걸려있다.

1910년 한일병합조약의 체결로 인해 모든 한국인들의 국적이 일본제국으로 바뀌었다. 일제강점기 동안에 많은 한국인들이 일본 본토로 유학을 가거나 일거리를 찾으러 갔다.

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인해 민심이 흉흉해지자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풀고, 불을 지르고 있다’는 헛소문이 퍼지기 시작했다. 이에 곳곳에서 자경단이 조직되어 한국인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하였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성난 민심의 눈을 돌리기 위해 이러한 만행을 방관하고, 오히려 조장하기까지 했다.

1940년대 들어 일본이 전쟁을 치르면서 노동력이 부족하게 되자, 한국인을 징용하기에 이르렀다. 징용된 한국인은 석탄 광산이나 군수 물품을 만드는 공장에서 일했다. 대다수는 일본과 가깝고 경제적 기반이 빈약했던 경상도 또는 제주도 출신이었다.

1945년 전쟁이 끝나고 한국이 해방된 시점에 일본에는 무려 200만 명에 이르는 한국인들이 있었다. 이들 중 140만 명 정도는 한국으로 되돌아갔으나, 나머지 60만 명은 한국의 정세불안 등의 이유로 일본에 남는 편을 선택하였고, 이들이 일본 이민 1세대가 되었다. 한반도가 정치적 이유로 인해 남북으로 갈라지자, 재일동포들도 정치적으로 갈라서기 시작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는 재일동포 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이 먼저 등장했으며, 이에 대항하여 대한민국의 지원을 받는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민단)이 설립되어 대립각을 세웠다. 초창기에는 민단보다 조총련에서 재일동포들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에 조총련을 지지하는 재일동포가 많았다.

초기의 재일동포는 일본의 교육과정을 따르기 보다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하는 ‘조선학교’에 다니기를 원했다. 그러나 당시 조선학교는 조총련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것이었으며, 때문에 미군이 조선학교를 폐교시키려 하면서 재일동포와 마찰을 빚었다.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후에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인은 뉴커머(new comer)라고 따로 불린다. 1988년 해외여행자유화 이후 그 수가 늘어났다. 대부분은 취업비자를 가지고 있으나, 불법체류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사회문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인구[편집]

귀화자를 제외한 재일동포(파란색), 특별영주권자(붉은색)

일본 귀화자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재일동포 수는 2017년 현재 약 81만 8천명이다. 귀화자를 제외한 재일동포 수는 45만 3천명이다. 이는 한국의 재외동포 중에서 재중동포(254만 명)와 재미동포(249만 명) 다음으로 많은 것이다. 재일동포로서의 차별을 피하기 위해 귀화를 선택하는 재일동포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귀화자를 제외한 재일동포 수는 1990년부터 꾸준히 감소 추세에 있다(파란색 그래프). 한편, ‘이민 1세대’를 의미하는 특별영주권자는 2017년 현재 37만 9천명으로 집계되었다. 특별영주권자는 유입은 없고 고령화에 따른 사망 등 자연적인 감소 요인만 있으므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붉은색 그래프).

지역별로 보면 오사카도쿄에 가장 많은 수의 재일동포가 거주하고 있다. ‘올드커머’인 특별영주권자는 일제강점기 당시 공장이 많던 오사카에 많이 징용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오사카에 가장 많은 수가 거주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도쿄, 고베, 나고야 순서대로 많이 살고 있다. 반면, ‘뉴커머’들은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인 도쿄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어 ‘올드커머’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재일동포 차별 문제[편집]

일제강점기 당시의 노골적인 조선인 차별은 광복 후에 재일동포에 대한 차별로 그대로 이어졌다. 1952년에 일본 정부는 재일동포를 잠재적 범죄자로 보고, 외국인들에 한해서 정기적으로 지문날인을 강요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재일동포 차별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지문 날인 제도는 재일동포의 끈질긴 저항 끝에 1991년에야 폐지되었다.

1977년, 민단은 재일동포가 일본사회에서 받고 있는 차별을 정리한 ‘차별백서’를 만들었다. 이 차별백서에 의하면 재일동포는 공영주택 입주, 금융거래, 취업, 국가자격증 취득 등의 분야에서 200여 가지의 차별을 받고 있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대놓고 한국과 재일동포에 대한 혐오를 조장하는 ‘혐한시위’가 등장하여 새로운 사회문제가 되었다. 최대의 혐한 단체인 ‘재일(在日)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재특회)는 재일동포가 많은 도쿄 신오오쿠보에서 혐한시위를 여러 차례 열며 일반 일본인들의 혐한 감정을 부추겼다.

현황[편집]

이민 1세대와 달리 이민 2세대, 3세대는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한국어보다는 일본어를 더 능숙하게 사용하는 등 일본 사회에 동화되어 있다. 조선학교를 다니지 않는 다음에야 한국어를 배울 일도, 사용할 일도 딱히 없기 때문이다. 재일동포는 일본인에게 많은 차별을 당해왔기 때문에 차별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 가능한 한 일본인처럼 살아왔다. 대표적인 예로, 많은 재일동포들은 한국식 이름 외에 통명(일본어: 通名, 쯔메이)이라고 하는 일본식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는 편의상 이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는 자신이 한국인임을 모르고, 다른 일본인들과 함께 재일동포를 욕하고 놀리다가 부모로부터 자신이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듣고 충격에 빠지는 웃지 못 할 일들도 벌어지기도 한다.

재일동포는 일본인의 상당히 노골적인 차별과 핍박 때문에 정상적인 일자리를 갖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음지로 들어가서 야쿠자로 활동하거나 파칭코 사업에 손을 대는 경우가 많았다. 오늘날 일본의 ‘국민도박’이라 불리는 파칭코점의 절반 이상이 한국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