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축사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천축사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이다.

소개[편집]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 교구로서 조계사에 속해있다.

신라 673년에 의상대사가 제자를 시켜 암자를 짓게 해 옥천암이라 명명한 것에서 시작하였다고 한다.[1] 이후 고려 명종 때 영국사가 들어섰으며, 조선으로 넘어와 함흥에서 돌아오던 태조가 여기에서 백일기도를 하였고, 나중에 그것을 상기하여 중창 후 천축사라는 사액을 내렸다. 이 사액은 고려인도의 승려인 지공이 제자인 나옹화상에게 절의 경관이 천축국 영축산의 난야와 닮아있다 한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실제로 깨끗한 석간수가 흐르거나 백년이 넘는 보리수 나무가 심어져 있는 등 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중창되었다는 기록이 참 많은데 우선 1474년 성종 때 왕명으로 중창되었고, 1812년 순조 때 경학스님이 절을 중창하였으며, 1816년에 신도 중 한 명이 불량답을 희사, 1862년에 여러 인물이 불량을 희사하여 다시 중창되었다.

그뒤로 1964년 무문관이 신축되었고, 2003년 대웅전·산신각·요사채가 중수되었다. 사찰 입구에 많은 불상이 조성되어 있는 게 특징인데, 통일을 염원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가람[편집]

대웅전을 비롯한 원통전, 산신각, 독성각 등이 있으며 참선도량인 무문관이 있다. 특히 무문관은 참선을 정진하는 곳으로서 면벽수행이 엄격하다고 한다. 방문 밖으로 출입금지에 음식도 창구를 통해 들여보낸다고 하며 고승 중에는 이곳에서 몇 년씩이나 정진한 사람도 있다고 한다. 본래 일반인들은 출입할 수 없었으나 1979년에 시설 여건으로 폐관 후 2011년 10월 5일에 개보수하여 재가불자를 위한 수행공간으로 다시 열었다.[2]

문화재[편집]

  • 불도
    • 비로자나삼신불도
    • 비로자나삼신괘불도
  • 불화
    • 지장탱화
    • 신중탱화
  • 화류수목조용상 - 조선 명종 때 문정왕후가 직접 하사한 것이라고 한다.

바깥 링크[편집]

주석[편집]

  1. ^ 이 이름은 현재 샘의 이름으로 쓰고있다
  2. ^ 법보신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