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서해선
![]() | |
한글 표기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영문 표기 | Seoul Metropolitan Subway Seohae Line |
한자 표기 | 首都圈 電鐵 西海線 |
소재국 | ![]() |
소유 | 대한민국정부 |
운영 | ![]() |
위탁 운영 | ![]() |
기점 | 일산 |
종점 | 원시 |
운행 계통 | ● 서해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4량 1편성 |
영업 거리 | 47.2km |
표정 속도 | 43.9km/h |
개통일 | 2018년 6월 16일 |
“ | 일산-고양-부천-시흥-안산 | ” |
수도권 전철 서해선(한자: 首都圈 電鐵 西海線)은 서부광역철도에서 운영하고 코레일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상징 색깔은 딥그린색이다.
노선명
원래 이 노선의 명칭은 소사원시선으로 계획되어 있었다. 기점인 소사역과 종점인 원시역을 잇는 노선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노선명이었다. 그러나 송산과 홍성을 잇는 간선철도망인 서해선과 직결 운영될 예정이기 때문에 전철 노선명도 ‘서해선’으로 통합하게 되었다.
특징

경기도 고양시의 일산역에서 시작하여 김포공항을 경유, 부천시와 시흥시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안산시의 원시역에서 끝나는 전철 노선이다. 출퇴근시간대에는 10분 간격, 평상시에는 15~19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가 적용된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개통으로 가장 큰 혜택을 보는 지역은 시흥시이다. 시흥시는 시가지가 여러 곳에 따로 떨어져 있다는 특징이 있어 행정적으로는 ‘시흥시’라는 하나의 도시로 묶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생활권을 형성해왔다. 그러나 서해선이 시흥시 북쪽의 신천동·대야동 지역, 시흥시청이 있는 연성동·능곡동 지역을 지나가게 되면서 시흥시 내 시가지 간의 연계성이 강화되었다.
복잡한 소유, 운영주체 관계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소유권과 운영주체가 복잡한 구조로 얽혀있다. 서해선의 소유권은 농협금융지주 등이 출자해서 설립한 이레일에서 개통 이후 20년간 가진다. 그러나 역 건물을 운영하고 유지하는 것은 서울교통공사 산하의 소사원시선운영 주식회사가 가진다. 또한, 열차 운행은 중소기업은행의 자회사인 서부광역철도 주식회사가 담당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게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역사와 미래
2011년에 착공하였으며 착공 7년만인 2018년 4월 25일에 개통하였다.
2023년 7월 1일은 북쪽으로 김포공항역을 지나서 고양시의 일산역까지 연장 개통하였다. 이에 따라 서해선 전철은 수도권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한 새로운 중추 노선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앞으로는 경의선과 연계하여 향후 남북을 오가는 철도가 서해선을 통해서도 다닐 수 있을 전망이다.
역 목록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
S07 | 일산[1] | - | 0.0 | 경의중앙 | 고양일산뉴타운 |
S08 | 풍산 | 1.9 | 1.9 | 경의중앙 | 풍동애니골 |
S09 | 백마 | 1.7 | 3.6 | 경의중앙 | 백마초등학교 |
S10 | 곡산 | 1.2 | 5.2 | 경의중앙 | 한전 KPS 일산지점 한국지역난방공사 고양지사 |
S11 | 대곡 | 1.7 | 6.9 | ![]() 경의중앙 GTX-A |
한국농어촌공사 지일지소 |
S12 | 능곡 | 1.8 | 8.7 | 경의중앙 | 고양능곡뉴타운 |
S13 | 김포공항 | 7.4 | 16.1 | ![]() ![]() ![]() 김포 |
김포국제공항 |
S14 | 원종 | 4.3 | 20.4 | 원종사거리 | |
S15 | 부천종합운동장(부천우리병원) | 2.1 | 22.5 | ![]() |
부천종합운동장 |
S16 | 소사(서울신대) | 2.7 | 25.2 | ![]()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소사구청, 서울신학대학교 |
S17 | 소새울(부천대 소사캠퍼스) | 1.7 | 26.9 | 봉매산, 소사고등학교 | |
S18 | 시흥대야 | 2.1 | 29.0 | 시흥 IC | |
S19 | 신천 | 1.3 | 30.4 | 삼미시장, 신천사거리 | |
S20 | 신현 | 3.4 | 33.7 | 신현동주민센터 | |
S21 | 하중 | 3. 5 | 35.2 | ||
S22 | 시흥시청 | 3.6 | 37.3 | 시흥시청 | |
S23 | 시흥능곡 | 1.3 | 38.6 | 시흥능곡지구 | |
S24 | 달미 | 2.4 | 41.0 |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 |
S25 | 선부(한도병원) | 1.6 | 42.6 | 다이아몬드 광장 | |
S26 | 초지(신안산대학교) | 1.7 | 44.3 | ![]() 수인분당 |
단원구청 |
S27 | 시우 | 1.4 | 45.7 | 안산유소년야구장, 한국산업단지공단 | |
S28 | 원시 | 1.5 | 47.2 | 안산스마트허브 | |
S29 | 국제테마파크 | 1. 7 | 49. 1 | 디즈니랜드 | |
S30 | 서화성 | 2. 0 | 51. 9 | ||
수도권 전철 노선 | |||
---|---|---|---|
중전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 1호선 | 수인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신분당선 | 경강선 |
서해선 | GTX-A | ||
경전철 | |||
의정부 | 용인 | 인천 2호선 | |
우이신설선 | 김포골드 | 신림선 | |
*휴업 |
- ^ 경의중앙선과 선로 공유(일산~능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