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역
![]() 연수역 역사 ![]() 청량리방면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Yeonsu |
---|---|
한자 역명 | 延壽 |
소재지 | ![]() |
역 번호 | K266 |
운영 | ![]() |
노선 | 수인분당 |
개역일 | 2012년 6월 30일 |
“ | 신연수역보다 뒤늦게 개통한 역 | ” |
연수역(한자: 延壽驛)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역사
연수역은 2012년에 6월 30일, 수인선 복선전철화와 함께 새로 개통한 역이다. 연수역은 과거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신설역이나, 위치상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의 문학역을 계승했다고 볼 수도 있다. 참고로 문학역은 현재의 연수역 위치와는 다소 떨어진 청학사거리 인근에 위치했었다.
1990년대에 연수구 일대에 신시가지가 들어서면서 그 교통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수역이 계획되었다. 원래 연수역은 연수신시가지 조성 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계획상 1990년대에 개통했어야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 등으로 공사가 심각하게 지연되어 2012년에서야 개통하게 된 것이다.
연수역과 가까운 곳에 건설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신연수역은 당초 연수역보다 늦게 개통될 것으로 예정되어 있어,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신연수역이라는 역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연수역의 개통이 늦어지면서, 신연수역(1999년 개통)이 연수역(2012년 개통)보다 13년이나 먼저 개통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1999년부터 2012년까지는 연수역도 없는데 "신"연수역만 존재하는 이상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이는 수인선 복선전철화가 매우 심각한 티스푼 공사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이다.
특징
2개의 선상 역사
2012년 개통 당시 연수역에는 현재의 1, 2번 출구가 있는 동쪽의 선상역사 하나만 있었다. 그러나 2014년, 주민들의 반발로 인하여 현재의 3, 4번 출구가 있는 서쪽의 선상역사를 추가로 만들게 되었다. 두 개의 선상역사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승강장을 거치지 않고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연수구의 중심역
연수역은 연수신시가지 조성 계획 단계에서부터 계획되어 있던 역으로, 연수신시가지의 중심역 역할을 부여받은 역이다. 그래서 연수역은 그 역명에 걸맞게 연수신시가지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으며, 연수동의 중심 상권과 바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버스 등의 연계 교통이 부실하여 역 접근성이 좋지는 않다는 점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