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철도역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그림 = 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영동선}} |역명 = 승부 |이전역명 = 양원역|양...)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철도역 | {{철도역 | ||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
− | |그림 = [[파일:승부역.jpg|320픽셀]] | + | |그림 = [[파일:승부역.jpg|320픽셀]]<br>승부역에는 1명의 역무원만이 상주하고 있다. |
|노선 = {{철도 링크|영동선}} | |노선 = {{철도 링크|영동선}} | ||
|역명 = 승부 | |역명 = 승부 | ||
− | |이전역명 = [[양원역|양원]] | + | |이전역명 = [[양원역(영동선)|양원]] |
|다음역명 = [[석포역|석포]] | |다음역명 = [[석포역|석포]] | ||
|로마자 역명 = Seungbu | |로마자 역명 = Seungbu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소재지 = {{태극기}} [[경상북도]] [[봉화군]] | |소재지 = {{태극기}} [[경상북도]] [[봉화군]]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 | +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산타}} · {{철도 링크|V}} |
|개역일 = [[1956년]] [[1월 1일]] | |개역일 = [[1956년]] [[1월 1일]] | ||
|역 번호 = | |역 번호 =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승부역은 [[낙동강]]을 끼고 있는 [[백두대간]]의 좁은 협곡에 자리 잡은 역이다. 승부역에서 내리면 역 주변으로 가파르고 높은 산들이 에워싸고 있어 하늘마저 좁아 보인다. 그래서 나온 말이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라는 말이다. 역 승강장에는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꽃밭도 세평이나/영동의 심장이요/수송의 동맥이다’라는 글귀가 적힌 비석이 있는데, 이 글귀는 1960년대에 승부역 역무원으로 근무하던 분이 쓴 것이라 한다. 승부역은 원래 인근에 있는 조그마한 마을만을 위한 간이역으로, 이용객 수가 무척 적은 역이었다. | 승부역은 [[낙동강]]을 끼고 있는 [[백두대간]]의 좁은 협곡에 자리 잡은 역이다. 승부역에서 내리면 역 주변으로 가파르고 높은 산들이 에워싸고 있어 하늘마저 좁아 보인다. 그래서 나온 말이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라는 말이다. 역 승강장에는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꽃밭도 세평이나/영동의 심장이요/수송의 동맥이다’라는 글귀가 적힌 비석이 있는데, 이 글귀는 1960년대에 승부역 역무원으로 근무하던 분이 쓴 것이라 한다. 승부역은 원래 인근에 있는 조그마한 마을만을 위한 간이역으로, 이용객 수가 무척 적은 역이었다. | ||
− | 오지에 있는 이 역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98년 환상선눈꽃순환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면서부터이다. 산속에 나 홀로 갇혀있는 것 같은 역 분위기가 인기를 끌면서, 지금은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와 [[ | + | 오지에 있는 이 역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98년 환상선눈꽃순환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면서부터이다. 산속에 나 홀로 갇혀있는 것 같은 역 분위기가 인기를 끌면서, 지금은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와 [[동해산타열차]]가 정차하는 관광지로 탈바꿈하였다. 승부역에서 석포역 사이에 '''승부역가는길'''이라는 명칭의 도보여행 코스가 있다. 코스 총 길이는 12.3km로, 3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
승부역 뒤쪽에는 영암선 개통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한국전쟁]]으로 피폐한 상황에서 험준한 백두대간을 넘나드는 철로를 완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가장 난공사 구간이었던 승부역에 기념비를 세운 것이다. 이 기념비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친필이 적혀 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theme/recom_content/cms_view_1151846.jsp 하늘 세 평, 땅 세 평을 이어주는 승부역]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4년 4월 22일</ref> | 승부역 뒤쪽에는 영암선 개통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한국전쟁]]으로 피폐한 상황에서 험준한 백두대간을 넘나드는 철로를 완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가장 난공사 구간이었던 승부역에 기념비를 세운 것이다. 이 기념비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친필이 적혀 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theme/recom_content/cms_view_1151846.jsp 하늘 세 평, 땅 세 평을 이어주는 승부역]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4년 4월 22일</ref> | ||
== 승강장 == | == 승강장 == | ||
+ | [[파일:승부역승강장.jpg|300픽셀|섬네일|승부역 승강장]] | ||
+ | |||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
|- | |- | ||
43번째 줄: | 45번째 줄: | ||
! 승강장 | ! 승강장 | ||
| 영동선 | | 영동선 | ||
− |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 | + |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동해산타}} · {{철도 링크|V}} |
| [[부산역|부산]]·[[영주역|영주]]·[[정동진역|정동진]] 방면 | | [[부산역|부산]]·[[영주역|영주]]·[[정동진역|정동진]] 방면 | ||
|} | |} | ||
+ | |||
+ | == 기타 == | ||
+ | * [[2020년]] [[2월]]부터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6&aid=0001634059 승부역·화본역서 무료 와이파이 쓰세요..한국철도 경북본부 와이파이구축]</ref>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
{{영동선}} | {{영동선}} | ||
[[분류:봉화군]] | [[분류:봉화군]] |
2023년 10월 11일 (수) 02:00 기준 최신판
![]() 승부역에는 1명의 역무원만이 상주하고 있다. | |
로마자 역명 | Seungbu |
---|---|
한자 역명 | 承富 |
소재지 | ![]() |
정차하는 열차 | 무궁화 · 산타 · V |
운영 | ![]() |
노선 | 영동선 |
개역일 | 1956년 1월 1일 |
“ |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 꽃밭도 세평이라 | ” |
승부역(한자: 承富驛)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리에 있는 영동선의 철도역이다.
특징[편집]
승부역은 낙동강을 끼고 있는 백두대간의 좁은 협곡에 자리 잡은 역이다. 승부역에서 내리면 역 주변으로 가파르고 높은 산들이 에워싸고 있어 하늘마저 좁아 보인다. 그래서 나온 말이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라는 말이다. 역 승강장에는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꽃밭도 세평이나/영동의 심장이요/수송의 동맥이다’라는 글귀가 적힌 비석이 있는데, 이 글귀는 1960년대에 승부역 역무원으로 근무하던 분이 쓴 것이라 한다. 승부역은 원래 인근에 있는 조그마한 마을만을 위한 간이역으로, 이용객 수가 무척 적은 역이었다.
오지에 있는 이 역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98년 환상선눈꽃순환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면서부터이다. 산속에 나 홀로 갇혀있는 것 같은 역 분위기가 인기를 끌면서, 지금은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와 동해산타열차가 정차하는 관광지로 탈바꿈하였다. 승부역에서 석포역 사이에 승부역가는길이라는 명칭의 도보여행 코스가 있다. 코스 총 길이는 12.3km로, 3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승부역 뒤쪽에는 영암선 개통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한국전쟁으로 피폐한 상황에서 험준한 백두대간을 넘나드는 철로를 완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가장 난공사 구간이었던 승부역에 기념비를 세운 것이다. 이 기념비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친필이 적혀 있다.[1]
승강장[편집]
↑석포 |
| 승강장 | |
양원↓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승강장 | 영동선 | 무궁화 · 산타 · V | 부산·영주·정동진 방면 |
기타[편집]
주석[편집]
- ^ 하늘 세 평, 땅 세 평을 이어주는 승부역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4년 4월 22일
- ^ 승부역·화본역서 무료 와이파이 쓰세요..한국철도 경북본부 와이파이구축
영동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