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의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제물포역|숭의역|}}
+
{{철도역
'''숭의역'''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본래 [[1937년]]에 개통해 [[1973년]]에 폐지된 종착역으로, 폐지 당시 명칭은 '''남인천역'''이었다. 숭의역의 부기역명은 '''인하대병원'''이며, 인근에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의과대학 부속병원]]이 있다.
+
|배경색 = #{{서울도시철도 색상|수인분당}}
 +
|그림 = [[파일:숭의역2024.jpg|320픽셀]]<br>인천방면 승강장
 +
|노선 = {{지하철|서울|수인분당}}
 +
|역명 = 숭의
 +
|이전역명 = [[인하대역|인하대]]
 +
|다음역명 = [[신포역|신포]]
 +
|로마자 역명 = Sungui
 +
|한자 역명 = 崇義
 +
|소재지 = {{태극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정차하는 열차 =
 +
|개역일 = [[1937년]] [[8월 5일]]<sup>협궤철도</sup><br>[[2016년]] [[2월 27일]]<sup>수도권 전철</sup>
 +
|역 번호 = K270
 +
|승강장 구조 = 복선 상대식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대사|개항의 역사를 간직한 역}}
 +
 
 +
'''숭의역'''({{llang|ko-Hani|崇義驛}})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
 
 +
== 역사 ==
 +
숭의역은 원래 [[수인선]] [[협궤철도]]의 역으로서, 1937년 8월 5일 '''인천항역'''이라는 명칭으로 개역하였다. 인천항역은 이후 '''수인역''', '''남인천역'''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영업하였다. 1973년 7월 14일, 수인선 협궤철도 운영 구간이 단축되면서 폐업하였다. 숭의역은 폐업한지 무려 43여 년 만인 2016년,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전철역으로 부활하였다.
 +
 
 +
== 특징 ==
 +
과거 명칭이 '''인천항역'''이라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천항]](내항)과 가깝다. 숭의역은 인천항 내항 3문과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수인선 복선전철화 사업 과정에서 숭의역을 지상역과 지하역으로 나누어 지상역은 화물을, 지하역은 여객을 담당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된 바 있다. 만약 이 계획대로 숭의역에서 화물을 담당했다면 인천항과 연계된 중요한 화물역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화물 취급 계획은 역 인근 주민들에게 소음, 분진 피해를 일으킬 수 있어 취소되었다.
 +
 
 +
2016년 수도권 전철 숭의역 개통 이전까지, 숭의역 주변은 저밀도 공업지역 및 상업지역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낙후된 구도심 형태였다. 그러나 2016년 숭의역 개통 이후 교통 및 생활환경이 개선되면서 역을 중심으로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분류:미추홀구]]

2024년 9월 27일 (금) 16:43 판

인하대 ← 숭의 → 신포
숭의역2024.jpg
인천방면 승강장
로마자 역명 Sungui
한자 역명 崇義
소재지 태극기.png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역 번호 K270
운영 코레일 로고.png
노선  수인분당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개역일 1937년 8월 5일협궤철도
2016년 2월 27일수도권 전철

숭의역(한자: 崇義驛)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역사

숭의역은 원래 수인선 협궤철도의 역으로서, 1937년 8월 5일 인천항역이라는 명칭으로 개역하였다. 인천항역은 이후 수인역, 남인천역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영업하였다. 1973년 7월 14일, 수인선 협궤철도 운영 구간이 단축되면서 폐업하였다. 숭의역은 폐업한지 무려 43여 년 만인 2016년,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전철역으로 부활하였다.

특징

과거 명칭이 인천항역이라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천항(내항)과 가깝다. 숭의역은 인천항 내항 3문과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수인선 복선전철화 사업 과정에서 숭의역을 지상역과 지하역으로 나누어 지상역은 화물을, 지하역은 여객을 담당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된 바 있다. 만약 이 계획대로 숭의역에서 화물을 담당했다면 인천항과 연계된 중요한 화물역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화물 취급 계획은 역 인근 주민들에게 소음, 분진 피해를 일으킬 수 있어 취소되었다.

2016년 수도권 전철 숭의역 개통 이전까지, 숭의역 주변은 저밀도 공업지역 및 상업지역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낙후된 구도심 형태였다. 그러나 2016년 숭의역 개통 이후 교통 및 생활환경이 개선되면서 역을 중심으로 아파트오피스텔 등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