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2013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5번째 줄: 5번째 줄:
 
|언어2 = 한자
 
|언어2 = 한자
 
|언어2_이름 = 民主黨
 
|언어2_이름 = 民主黨
|로고 = 민주당.jpg
+
|워드마크 = 민주당.jpg
 
|대표 = 김한길
 
|대표 = 김한길
 
|원내대표 = [[전병헌]]
 
|원내대표 = [[전병헌]]

2019년 6월 9일 (일) 21:49 판

민주당(2013년)
민주당.jpg
영어명 Democratic Party
한자명 民主黨
상징색 파란색
이념 자유주의, 진보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익
당직자
전 대표 김한길
원내대표 전병헌
역사
창당 2011년 12월 15일
선행조직 민주당(2008년), 시민통합당

민주당(한자: 民主黨)은 대한민국중도좌익 성향의 정당으로서, 정치적으로 진보주의자유주의를 지향한다. 현재 127석의 국회의석을 확보하고 있어 대한민국의 제1야당 역할을 하고 있다. 원래 명칭은 민주통합당이었으나 2013년을 기해 민주당으로 이름을 바꾸고, 당 상징색도 기존의 노란색+초록색에서 파란색으로 교체하였다.

2011년 12월 15일, 18대 국회에서 제1야당이었던 민주당[1]은 군소 정당인 시민통합당[2]과 통합하여 민주통합당이 되었다. 민주통합당은 2012년 치러진 18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내세웠으나 새누리당박근혜 후보에게 패하여 야당으로 남게 되었다.

정책

민주당은 대체로 온건한 좌익 성향의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분야에 따라서는 우익 성향을 나타내기도 한다. 복지를 강조하지만 자본주의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다음은 민주당의 강령/정강정책에 드러난 민주당의 주요 정책들을 나열한 것이다.

경제

  1. 성장지상주의 배격
  2. 경제민주화 실현
  3.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 강화
  4. 농.수.축협 개혁, 유통구조 혁신
  5. 해양수산산업 적극 지원, 육성

복지

  1. 보편적 복지 (새누리당에서 주장하는 선별적 복지와 상대되는 개념)
  2. 공공의료 시설 30% 수준으로 확대
  3. 공공임대주택 공급확대, 임대차보호 강화

통일, 외교, 안보

  1. 남북 교류협력 활성화,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
  2. 전시작전권통제권 전환 이행
  3. 한미동맹 + 균형외교(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관계 발전)
  4. 재외동포 참정권 보장

정치

  1. 정당혁신 실천, 생활밀착형 민생정치
  2. 검찰, 경찰, 국정원 개혁, 공직자 비리 척결
  3. 중앙정부 권한의 지방이양 확대

노동

  1.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고용보조금제도, 실업안전망 확충
  2. 청년의무고용할당제 강화

교육

  1. 고등학교 교육 의무교육화, 진학과 취업에서 모든 종류의 학력차별 철폐
  2. 국공립대 확대
  3. 근로청소년에 대한 사회보장제도 적극 도입

사회취약계층

  1. 보육, 요양 등 가족 돌봄을 공적서비스로 확대
  2. 출산지원과 의무보육, 아동수당 제도 법제화
  3. 초고령화사회를 대비하는 대통령 직속 전문정책기구 설치
  4. 장애아동과 위기가정의 아동 보호
  5. 장애인 고용목표제 준수강화, 장애연금 확대

문화·과학기술·환경·언론

  1. 지역, 계층에 따른 문화격차 해소
  2. 과학기술인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담보하는 지원체계 구축
  3. 원전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 장기적으로는 원전 제로시대 지향
  4. 자본과 권력으로부터의 언론 독립, 뉴미디어의 언론자유 보장

외부 링크

주석

  1. ^ 당시 81석의 국회의석을 확보하고 있었음
  2. ^ 친 노무현 계열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