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철도역 |배경색 = #{{서울도시철도 색상|5}} |배경색2 = #{{서울도시철도 색상|6}} |배경색3 = #{{서울도시철도 색상|경의중앙}} |배경색4 = #{{서...) |
(→공덕 역세권)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공덕 역세권 === | === 공덕 역세권 === | ||
− | 4개 전철 노선이 만나는 역을 갖춘 공덕역 역세권은 [[마포구]] 일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밀도 사무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서울 사대문 안 도심지와 인접하여 사실상 도심의 확장판 역할을 하고 있다. | + |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공덕은 서울 변두리의 저밀도 주거지역에 불과했으나, 1977년에 마포대로, 백범로, 만리재로 등의 시내 주요도로가 서로 만나는 오거리가 들어서면서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공덕이 빠르게 발전하게 된 것은 1996년 [[서울 도시철도 5호선]] 공덕역이 개통하면서부터로, 이 때를 기점으로 공덕오거리 주변으로 고층 빌딩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
+ | |||
+ | 오늘날, 4개 전철 노선이 만나는 역을 갖춘 공덕역 역세권은 [[마포구]] 일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밀도 사무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서울 사대문 안 도심지와 인접하여 사실상 도심의 확장판 역할을 하고 있다. | ||
{{서울 지하철 5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
2025년 5월 23일 (금) 15:29 기준 최신판
![]() ●5호선 승강장 ![]() ●6호선 승강장 ![]() ●경의중앙선 승강장 ![]() ●공항철도 승강장 | |
로마자 역명 | Gongdeok |
---|---|
한자 역명 | 孔德 |
소재지 | ![]() |
역 번호 | 529 (5호선) 626 (6호선) K312 (경의중앙선) A02 (공항철도) |
운영 | ![]() |
노선 | ![]() ![]() ![]() |
승강장 구조 | 섬식 승강장 (5호선) 상대식 승강장 (6호선, 경의중앙선)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 (공항철도) |
개역일 | 1996년 12월 30일 (5호선) 2000년 12월 15일 (6호선) 2012년 12월 15일 (경의중앙선) 2011년 11월 30일 (공항철도) |
“ | 마포구의 교통 중심지 | ” |
공덕역(한자: 孔德驛)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및 도화동에 있는 서울 도시철도 5호선, 서울 도시철도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전철역이다.
특징[편집]
4개 노선 환승역[편집]
공덕역은 2012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공덕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5호선, 6호선, 경의선(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등 4개의 전철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 되었다. 서울에서 4개의 전철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은 왕십리역(2012년 10월) 이후 공덕역이 두 번째이다. 이처럼 하나의 전철역에 노선 수가 많아지면 으레 따라 붙는 것이 환승 문제인데, 공덕역은 1990년대부터 4개 노선 계획이 모두 잡혀 있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환승 편의를 위해 설계될 수 있었다. 그래서 공덕역은 어떤 노선에서 환승을 하더라도 모두 환승이 편리하도록 효율적인 동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덕역은 크게 5호선/6호선 승강장이 위치한 구역 하나와 경의중앙선/공항철도 승강장이 위치한 구역 하나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같은 구역 내 환승인 5호선↔6호선간 환승 및 경의중앙선↔공항철도간 환승은 에스컬레이터로 층 이동만 하면 바로 환승이 가능하여 1~2분 이내 환승이 가능하다. 또한, 두 구역은 100m 가량의 짧은 환승통로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두 구역간 환승도 매우 편리하다(3~4분 소요). 때문에 공덕역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막장환승으로 악명높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환승역)의 훌륭한 대체제 역할을 하고 있다.
공덕 역세권[편집]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공덕은 서울 변두리의 저밀도 주거지역에 불과했으나, 1977년에 마포대로, 백범로, 만리재로 등의 시내 주요도로가 서로 만나는 오거리가 들어서면서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공덕이 빠르게 발전하게 된 것은 1996년 서울 도시철도 5호선 공덕역이 개통하면서부터로, 이 때를 기점으로 공덕오거리 주변으로 고층 빌딩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4개 전철 노선이 만나는 역을 갖춘 공덕역 역세권은 마포구 일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밀도 사무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서울 사대문 안 도심지와 인접하여 사실상 도심의 확장판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 |
---|---|
본선 | |
마천지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천국제공항철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