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16.122.172.34 (토론)님의 2013년 10월 22일 (화) 19:47 판

남북관계의 변천.

1950~60년대

이념의 차이로 인한 크고작은 분쟁이 계속되다가 북한의 남침으로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이로 인해 남북 양국에 무수한 인명, 경제적 피해를 입혔다. 남북간의 관계는 당연히 최악으로 치달았다. 대한민국에서는 "반공주의"를 내새우며 북한과의 대립의 골을 깊게 했다. 특히 이승만 정권은 북한에 쳐들어가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는 "북진통일"을 줄곧 주장했으나 당시 남한의 경제적 사정이 좋지 않았으므로 사실상 불가능한 주장이었다. 이 당시만 해도 북한의 경제력이 남한보다 더 좋았다.

1970년대

1980년대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전두환 대통령은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 북한과의 교류를 늘려간다는 "민족화합 민주통일방안"을 제시했으며

노태우 대통령은 "북방 정책"을 펴며 중국사회주의 국가와의 교류를 활발히 했다.

1990년대

남북한의 UN 동시가입, 남북한의 핵 개발을 전면 포기하는 내용의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에 눈에 띄는 성과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남북한의 "공조, 공영"을 강조한 김영삼 대통령은 김일성과의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1994년 김일성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무산되었다.

2000년대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으로 남북 관계는 어느 때보다 가장 가까워졌다. 김정일과의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고, 이 정상회담을 통해 채택된 6.15 남북공동선언에서는 바람직한 남북통일의 형태를 제시했다.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면서 수학여행을 북한으로 가는 꿈만 같은 일이 현실화되었다. 뒤이어 노무현 대통령도 전 정권의 이러한 대북정책을 이어나가며 남북정상회담을 다시 한번 성사시켰다.

2010년대

이명박 대통령은 기존과는 다른 "비핵 개방 3000"이라는 대북 정책을 주장했는데, 이는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개방화를 하면 북한의 GDP를 3000불 까지 끌어올려 주겠다는 의미이다. 이에 북한이 반발하면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