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3호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한글 표기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
영문 표기 | Busan Subway Line 3 |
한자 표기 | 釜山 都市鐵道 三號線 |
소재국 | 대한민국 |
소유 | 부산광역시 |
운영 | |
기점 | 수영 |
종점 | 대저 |
운행 계통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4량 1편성 |
영업 거리 | 18.1km |
소요 시간 | 33분 |
표정 속도 | 33km/h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5분, 최대 15분 |
개통일 | 2005년 11월 28일 |
“ | 환승 특급 3호선 |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수영역에서 강서구의 대저역까지를 잇는 연장 18km의 노선이다. 3호선의 노선 상징색은 밝은 갈색( 3 )이다. 1997년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 11월 28일 개통하였다. 17개의 역을 가지고 있는 짧은 노선으로서, 주로 다른 노선을 이용하기 위한 환승노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동래에서 해운대까지 가려면 예전에는
이렇게 한참 돌아가야 했지만(소요시간 50분, 정차역 22개), 3호선을 이용하여
이렇게 가면 시간이 단축된다(소요시간 35분, 정차역 11개). 부산 지하철 3호선의 차량은 4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차량사이에는 문이 달려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3호선은 부산지하철 최초로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
노선 총 소요시간은 35분이다.
역 목록[편집]
다음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 목록이다. 부산도시철도의 다른 모든 노선(1호선, 2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은 물론 경부선 KTX 정차역인 구포역으로도 환승가능하다. 환승종결자 3호선
역 번호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환승 노선 | 인접시설 | 비고 |
---|---|---|---|---|---|---|
301 | 수영 | 0.0 | 0.0 | 2 | 수영교차로, 수영사적공원 | |
302 | 망미 | 1.0 | 1.0 | 부산지방병무청, 부산배화학교 | ||
303 | 배산 | 1.2 | 2.2 | 망미중학교, 연산3동주민센터 | ||
304 | 물만골 | 1.1 | 3.3 | 연산시장, 연산초등학교 | ||
305 | 연산 | 1.1 | 4.4 | 1 | 연산교차로 | |
306 | 거제 | 0.7 | 5.1 | 동해 |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검찰청 | |
307 | 종합운동장 | 0.7 | 5.8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
308 | 사직 | 0.8 | 6.6 | 사직구장 | ||
309 | 미남 | 0.8 | 7.4 | 4 | 미남교차로 | |
310 | 만덕 | 3.3 | 10.7 | 만덕시장, 만덕고등학교 | ||
311 | 남산정 | 1.1 | 11.8 | 폴리텍7대학 부산캠퍼스, 구포 IC | ||
312 | 숙등 | 1.0 | 12.8 | 숙등교차로 | ||
313 | 덕천 | 0.7 | 13.5 | 2 | 구포시장, 덕천동 젊음의거리, 부산북구문화빙상센터 | |
314 | 구포 | 1.1 | 14.6 | 구포역, 구포대교 | ||
315 | 강서구청 | 1.6 | 16.2 | 강서구청 | ||
316 | 체육공원 | 1.1 | 17.3 | 강서체육공원 | ||
317 | 대저 | 0.8 | 18.1 | 김해 | 부산우편집중국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
동남권 전철 노선 |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김해경전철 | 동해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