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해 경전철
|
한글 표기
|
부산-김해 경전철
|
영문 표기
|
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
한자 표기
|
釜山-金海輕電鐵
|
소재국
|
대한민국
|
소유
|
부산광역시, 김해시
|
운영
|
|
기점
|
사상
|
종점
|
가야대
|
운행 계통
|
●김해경전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2
|
열차 편성
|
2량 1편성
|
영업 거리
|
23.5km
|
소요 시간
|
40분
|
표정 속도
|
38km/h
|
배차 간격
|
4~11분
|
개통일
|
2011년 9월 16일
|
부산-김해 경전철(한자: 釜山-金海輕電鐵)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김해시 사이를 운행하는 무인 경전철 노선이다. 총 연장 23.9km, 영업거리 23.5km이며, 21개 역이 있다. 2011년 9월 16일 정식 개통되었다. 당초에 하루 이용객 수를 17만 6천명으로 예측하고 공사를 진행하였으나 개통 후 실제 승객수는 이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2015년 기준 일평균 승차인원은 4만 5천명 선이다. 예측수요보다 실제수요가 적을 경우에는 지자체에서 부산김해경전철운영사 측에 적자보전을 해 주도록 계약되어 있기 때문에 김해시는 매년 엄청난 적자보전금을 퍼다 주고 있다. 사실 부산-김해 경전철의 이용객 수는 국내 경전철 노선 중에서 가장 많은 편이고, 또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은 애당초 수요예측이 비현실적인 수준으로 부풀려졌기 때문이다. 하루동안 운행되는 모든 열차가 정원수를 가득 채워서 승객들을 태우고 다녀도 17만 6천명에는 못 미친다. 그냥 간단히 말해 사기계약. 애꿎은 김해시민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당하고 있다.
2006년 2월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공사 중 터진 갖가지 문제들로 인해 공사가 수차례 중단과 진행을 반복하였다. 원래 2011년 7월 29일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열차 운행 소음이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되면서 개통일이 다시 한 번 늦춰졌다. 결국 보완공사 후 9월 17일 개통하였다.
노선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