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경상남도 | |
---|---|
![]() | |
표어 | Bravo Gyeongnam |
한글 표기 | 경상남도 |
한자 표기 | 慶尙南道 |
영문 표기 | South Gyeongsang Province |
구분 | 광역자치단체(도) |
구성 | 8시 10군 |
인구 | 337만 7626명 (2018년) |
면적 | 10,539(㎢) |
인구밀도 | 320(명/㎢) |
단체장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
상징새 | 백로 |
상징꽃 | 장미 |
상징나무 | 느티나무 |
경상남도(한자: 慶尙南道)는 대한민국의 남동쪽에 있는 도이다. 도청소재지는 창원시이다. 남동쪽 해안가로는 울산광역시-부산광역시-창원시-진주시에 이르는, 수도권 다음으로 인구 규모가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남동임해공업단지라 불리는 이 지역은 조선, 기계, 정유 등 중공업 위주의 산업이 크게 발달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매년 가장 많은 수출액을 올리는 지역이기도 하다.
UNESCO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합천 해인사, 진주의 남강유등축제, 진해의 벚꽃축제(진해군항제)등에는 매년 많은 관광객이 많이 들르고 있다.
지리[편집]
경상남도는 영남지역의 일부분으로, 동쪽으로는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 서쪽으로는 전라도, 남쪽으로는 남해, 북쪽으로는 경상북도와 접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이 이 지역을 가로지르고 있어 식수 및 공업용수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진주시를 비롯한 서부경남 쪽으로는 낙동강의 지류인 남강이 흐르고 있다.
농수산업[편집]
낙동강 주위로 발달한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농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김해시 주위의 김해평야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옥한 곡창지대 중 하나이다. 경상남도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로는 쌀, 콩, 감자, 보리 등이 있으며, 면화, 깨, 그리고 남해안의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여러 종류의 과일 생산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연중 따뜻한 남해안을 끼고 있는 경상남도의 지리적 특성상 수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대한민국 전체 수산물 생산량의 1/5가량이 경남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주요 수산 자원으로는 멸치, 쥐치, 고등어, 아귀, 볼락 등이 있으며, 굴 등의 양식도 이뤄지고 있다.
관광[편집]

경상남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합천 해인사가 있다. 해인사에는 부처님의 말씀을 담은 팔만대장경이 있다 하여 예로부터 법보사찰로 불렸다.
높이 1915m,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인 지리산이 경상남도와 전라도의 경계에 자리 잡고 있다. 지리산 등산길 외에도 지리산 둘레길이라는 산책 코스가 개발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둘레길은 말 그대로 지리산 주위를 한 바퀴 도는 코스로 되어 있으며, 그 전체 길이는 300km에 달한다.
행정구역[편집]
시[편집]
지역 | 지역 상징 마크 | 인구 (2017년) | 특징 |
---|---|---|---|
창원시 (昌原市) | ![]() ![]() |
기존의 창원, 마산, 진해가 통합된 중핵 도시, 경상남도청 소재지 | |
김해시 (金海市) | ![]() ![]() |
김해평야 위에 펼쳐진 도시 | |
진주시 (晉州市) | ![]() ![]() ![]() |
서부경남의 중심도시 | |
양산시 (梁山市) | ![]() ![]() |
부산광역시의 위성도시 | |
거제시 (巨濟市) | ![]() ![]() ![]() |
해금강이 있는 해양관광도시 | |
통영시 (統營市) | ![]() ![]() |
동양의 나폴리, 통영항이 있는 해양관광도시 | |
사천시 (泗川市) | ![]() ![]() |
항공산업의 도시 | |
밀양시 (密陽市) | ![]() |
밀양아리랑과 영남루 |
군[편집]
외부 링크[편집]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 |
---|---|
특별시 | |
광역시 | |
도 | |
특별자치시 | |
특별자치도 |
경상남도의 행정구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