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이 문서는 경상남도의 도시에 관한 것입니다. 조개가 만드는 둥근 광물에 대해서는 진주(광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진주시 | |||||
晉州市 | |||||
![]() 진주 남강 | |||||
| |||||
행정 | |||||
지역 | 경상남도 | ||||
---|---|---|---|---|---|
행정구역 | 1읍 15면 14행정동 | ||||
시청소재지 | 동진로 155 | ||||
시장 | 조규일 (국민의힘) | ||||
인구 | |||||
인구 | 339,577 명 (2024년) | ||||
지리 | |||||
면적 | 712 km2 | ||||
상징 | |||||
시목 | 대추나무 | ||||
시화 | 석류꽃 | ||||
시조 | 백로 | ||||
기타 | |||||
지역번호 | 055 | ||||
“ | 아름다운 남강이 흐르는 도시 | ” |
진주시(한자: 晉州市)는 인구 30만명 내외의 중소도시로서, 서부 경상남도 일대의 골목대장격 중심도시이다. 임진왜란 당시 쳐들어온 왜군들을 진주성에서 막아낸 역사가 있는데, 이를 진주대첩(1592년)이라 한다. 당시 진주목사였던 김시민의 통솔력과 진주성의 지형적 특성(남강이 진주성 주위로 흐름)이 승리의 요인이었다. 그러나 다음해인 1593년엔 왜군과의 전력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진주성이 함락되었다. 그러나 끝내 비옥한 곡창지대인 호남지역까지는 왜군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끌었다. 말하자면 바다는 이순신 장군이, 육지는 진주성이 막고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진주대첩을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편, 1593년 진주성이 함락되었을 때 진주목 소속의 기생이었던 논개는 승리에 도취되어 진주성의 촉석루에서 술을 마시던 왜장을 유인하여 왜장과 함께 남강에 투신하였다. 이로인해 왜군의 사기는 크게 떨어지게 되었고, 이로인해 며칠 지나지 않아 왜군이 퇴각한 덕분에 진주성이 함락되었음에도 호남 지역이 무사할 수 있었다. 논개는 진주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열사로 칭송받았으며, 논개가 뛰어든 바위는 "의암"이라고 하여 진주의 또다른 명물이 되었다.
또한, 진주시에는 공군교육사령부와 그 예하부대[1]들이 위치해 있다.
인구[편집]
진주시의 인구는 33만명(2024년 기준)으로, 경남에서 창원, 김해, 양산에 이어 4번째로 큰 도시이다. 다만, 서부경남에 한정해서 본다면 서부경남 최대의 도시가 되므로 도시의 위상은 꽤 높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경남도청 제2청사(서부청사)가 진주에 있다. 2010년대에 조성된 진주혁신도시는 전국 혁신도시들 중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안착한 사례 중 하나이나, 서부경남 지역의 전체적인 쇠락과 맞물려 진주시의 인구는 2000년대 이후 크게 늘지도, 줄지도 않고 30만 명 대를 유지하고 있다.
대학생 인구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 특징으로, 전체 인구의 10%인 3만명 정도는 대학생이다.(2년제대학 및 교육대학교 포함) 실제로 진주는 인구 규모에 비해 큰 규모의 대학교가 많아 교육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연령별로 따져 봤을때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대는 40대로, 전체 인구의 17%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노인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가진 도시라는 의미이다.
진주의 향토 음식[편집]
![]() |
![]() |
진주비빔밥 | 진주냉면 |
- 진주비빔밥 - 육회를 넣어먹는 비빔밥. 선짓국과 함께 먹는다.
- 진주 남강 민물장어 - 진주 남강에서 잡은 민물장어를 구워 매운 양념을 해 먹는다.
- 지지미 - 땡초를 넣어 맵게 만든 파전으로, 막걸리와 궁합이 잘 맞는다.
- 진주 냉면 - 소고기에 계란을 입혀 만든 육전을 넣어먹는 냉면. 일반 냉면에 비해 고명의 양이 많아 푸짐해 보이는 것이 특징.
교육[편집]

진주는 예로부터 교육도시로 유명했다. 경상남도의 지역거점국립대학교인 경상대학교가 위치하며, 교육대학인 진주교육대학교도 위치한다. 진주에는 그 밖에도 수많은 2년제 대학들이 위치한다.
문화[편집]
진주시는 서부경남의 문화적 중심지로서, 매년 다음과 같은 축제가 개최된다.
축제 | 개최 기간 | 개최 장소 | 주최 | 주요 행사 |
---|---|---|---|---|
진주남강 유등축제 |
10월 1일 ~ 10월 12일 |
남강 일대 | 진주시, 진주문화예술제단 |
유등 띄우기, 등 전시, 등 거리 퍼레이드 |
개천예술제 | 10월 3일(개천절) ~ | 진주성 일대 | 진주시, 한국예총진주지회 |
예술경연, 가장행렬 |
코리아드라마 페스티벌 |
10월 | 경남문화 예술회관일대 |
코리아드라마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
드라마 시상식, 스타 선발대회 |
진주논개제 | 5월 말 | 진주성 일대 | 진주시 | 의암별제, 진주무형문화재 공연 |
교통[편집]
동서방향으로는 남해고속도로가 있어 부산, 광주, 창원, 순천 방면으로의 교통이 편리하고 남북방향으로는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있어 서울, 대전, 통영 방면으로의 교통이 편리하다.
경전선 진주역이 진주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이 정차한다. 그러나, 진주역을 지나는 경전선은 부산/창원과 광주/순천을 잇는 동-서방향 철도 노선이므로 서울 방면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거리를 돌아가야 해서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진주에서 서울까지 KTX로 3시간 20분이 소요되는데, 이는 고속버스 소요시간(3시간 35분)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다. 그래서 빠른 교통수단으로서 항공노선이 나름 수요가 존재하는 편이다. 진주의 항공교통은 사천공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사천공항에서 김포공항까지는 1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장래에 남부내륙철도가 개통되어 진주에서 창원을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서울 방면으로 갈 수 있게 되면 진주의 교통망은 철도 교통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알고 계셨나요?[편집]
- 1896년부터 1925년까지 진주시는 경상남도의 도청 소재지였습니다.
- 2011년에는 진주 호탄동 일대에서 밀집도 및 수 면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어 천연기념물 제 53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주석[편집]
- ^ 공군 방공포병학교 및 학군단 제외
진주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