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
“ | 영남지역 대표공항 | ” |
김해국제공항(한자: 金海國際空港)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공항코드로는 PUS를 사용한다. 김해국제공항은 1976년 개항하였다. 개항 당시에는 이곳이 행정구역상으로 경남 김해군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김해국제공항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그러나 김해국제공항은 1978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산광역시 강서구로 편입되면서 공항명칭과 행정구역이 불일치하게 되었다. 2007년 10월 31일 국제터미널 신청사가 개장하였다. 김해국제공항은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으로서, 영남 지역을 대표하는 공항이다. 인천공항, 제주공항, 김포공항 다음으로 많은 이용객수(2015년 기준 1,200만여 명)를 기록하고 있으며, 상기한 공항들과 함께 흑자(연평균 600억 원대)를 내고 있다. 김해공항의 수요는 많다 못해 미어터지는 수준이지만, 공항의 상황은 열악한 면이 많다.
- 군용공항의 한계 – 김해공항은 여객 전용 공항이 아닌 대한민국 공군 소속의 군사용 공항이다. 따라서 공항 이용에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 주민피해 – 김해공항이 위치한 낙동강 삼각주에는 크고 작은 마을들이 흩어져 있다. 따라서 공항 소음으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며, 이 때문에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 김해공항을 전면 폐쇄시키고 있다.
- 위험한 지형 – 김해공항에 이·착륙하는 항공기들의 주된 통로가 되는 공항 북쪽에는 신어산(630m), 백두산(353m), 분성산(327m)등의 산들이 줄지어 있어 대단히 위험하다. 실제로 2002년 4월 15일에는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서 이륙하여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중국국제항공 소속 여객기가 돗대산(380m) 기슭에 부딪혀 추락, 탑승객 129명이 사망(37명 생존)한 사고가 일어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부산 가덕도 또는 경남 밀양 지역에 영남권 신공항을 건설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한 때 논의되었다. 하지만 2016년, 국토교통부에서 새로운 공항을 건설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김해국제공항을 정비 및 확장하는 편이 더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내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통계[편집]
연도별 이용객수[편집]
이용객수 | ||||
---|---|---|---|---|
1997 | 9,958,559 | |||
1998 | 7,600,329 | |||
1999 | 8,388,401 | |||
2000 | 9,358,152 | |||
2001 | 9,168,089 | |||
2002 | 9,173,288 | |||
2003 | 8,782,835 | |||
2004[1] | 7,674,153 | |||
2005 | 7,045,806 | |||
2006 | 7,071,037 | |||
2007 | 7,403,262 | |||
2008 | 7,202,117 | |||
2009 | 6,870,157 | |||
2010 | 8,160,546 | |||
2011 | 8,749,153 | |||
2012 | 9,196,090 | |||
2013 | 9,671,381 | |||
2014 | 10,378,866 | |||
2015 | 12,382,150 | |||
출처: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 |
국내노선[편집]
순위 | 공항 | 이용객수 | 항공편수 | 항공사 |
---|---|---|---|---|
1 | 제주국제공항 | 3,087,878 | 20,035 | 대한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아시아나항공 |
2 | 김포국제공항 | 2,078,971 | 18,478 | 대한항공, 에어부산 |
3 | 인천국제공항 | 346,363 | 2,910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
국내선 중에서는 국내 최대 관광지인 제주로 가는 노선이 이용객수가 가장 많다. 부산-김포노선은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 등으로 인해 이용객수가 줄어든 상태이다. 김해-인천 노선은 인천공항을 경유하여 해외로 나가는 노선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국내선은 아니다.
국제노선[편집]
순위 | 공항 | 이용객수 | 항공편수 | 항공사 |
---|---|---|---|---|
1 | 오사카 칸사이 | 523,122 | 3,847 | 대한항공, 에어부산, 아시아나항공, 피치항공 |
2 | 도쿄 나리타 | 489,440 | 3,647 | 대한항공, 에어부산, 일본항공 |
3 | 후쿠오카 | 406,020 | 3,053 | 대한항공, 에어부산 |
4 | 홍콩 | 344,860 | 2,514 | 대한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홍콩드래건항공, 홍콩익스프레스항공 |
5 | 상하이 푸동 | 318,967 | 2,792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항공 |
6 | 방콕 수완나품 | 306,672 | 1,978 | 대한항공, 제주항공, 타이항공 |
7 | 베이징 수도 | 285,408 | 2,457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국제항공 |
8 | 타이완 타오위안 | 255,508 | 1,712 | 대한항공, 에어부산, 중화항공 |
9 | 마닐라 | 215,558 | 1,909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세부퍼시픽, 필리핀항공 |
10 | 칭다오 | 176,325 | 1,458 | 대한항공, 에어부산 |
11 | 세부 | 164,232 | 1,318 | 대한항공, 에어부산, 세부퍼시픽 |
12 | 하노이 | 155,457 | 963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베트남항공 |
13 | 호치민 | 158,461 | 1,122 | 베트남항공 |
14 | 쿠알라룸프르 | 122,316 | 414 | 에어아시아 |
15 | 시엠레아프 | 91,967 | 819 | 대한항공, 에어부산, 스카이윙스아시아항공 |
16 | 나고야 주부 | 79,722 | 722 | 대한항공 |
17 | 칼리보 | 71,674 | 584 | 필리핀항공, 제스트항공 |
김해공항에서는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의 주요 관광지로 오가는 노선을 주로 운항하고 있다. 덕분에 영남지역 주민들은 불편하게 인천국제공항까지 가지 않고도 김해국제공항을 이용하여 근거리 해외여행을 즐길 수 있다.
항공사[편집]
김해국제공항 출발/도착 노선 기준, 2014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이용객수를 기록한 10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항공사 | 국내선 이용객수 | 국제선 이용객수 | 합계 |
---|---|---|---|---|
1 | 에어부산 | 2,314,909 | 1,263,907 | 3,578,816 |
2 | 대한항공 | 2,067,283 | 1,300,998 | 3,368,281 |
3 | 제주항공 | 990,730 | 162,428 | 1,153,158 |
4 | 아시아나항공 | 140,310 | 441,894 | 582,204 |
5 | 베트남항공 | 284,402 | 284,402 | |
6 | 일본항공 | 177,201 | 177,201 | |
7 | 필리핀항공 | 140,140 | 140,140 | |
8 | 에어아시아 | 122,919 | 122,919 | |
9 | 피치항공 | 113,009 | 113,009 | |
10 | 중화항공 | 112,083 | 112,083 |
김해국제공항을 허브공항으로 하는 중저가 항공사인 에어부산이 가장 많은 이용객수를 기록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 영남권 신공항 - 김해국제공항을 대체할 공항으로 논의되다가 2016년에 경제성 등의 문제로 계획 단계에서 무산된 공항.
외부링크[편집]
주석[편집]
대한민국의 공항 | |
---|---|
국제공항 | |
국내공항 | |
건설예정 | |
별표*는 군용 공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