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균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Bacillus anthracis에서 넘어옴)
탄저균
탄저균.jpg
Bacillus anthracis
생물 분류
역: 세균
문: 후벽균문
강: 바실러스강
목: 바실러스목
과: 바실러스과
속: 바실러스속
종: 탄저균
(B. anthracis)
학명
Bacillus anthracis

탄저균(학명: Bacillus anthracis)은 가축과 인간의 질병인 탄저의 원인체이다. 탄저균은 바실러스속 균 중에서 유일하게 편성 병원균이다. 탄저균은 그람양성균으로서, 내생아포를 형성하는 막대모양의 세균이다. 너비는 1.0-1.2 µm이며, 길이는 3-5 µm이다. 호기성 또는 혐기성 조건에서 일반 영양배지에서 증식이 가능하다.

단백질 협막을 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몇 안 되는 세균 중 하나이다. Bordetella pertussis와 마찬가지로, 흔히 부종인자로 알려진 칼모듈린 의존성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외독소와 치사인자를 생산한다. 세레우스균 (Bacillus cereus) 및 Bacillus thuringiensis유전형질표현형질이 아주 유사하다. 이들 세 종의 세균은 세포학적, 형태학적으로 공통점이 있다. 모두 부풀지 않은 아포낭의 중심에 위치한 타원형의 아포를 형성한다. 이중에서도 특히 탄저균의 아포는 저항성이 뛰어나며, 극단적인 온도, 영양이 부족한 환경, 화학적 처리 속에서도 수십 년 또는 수세기 동안 생존할 수 있다.

아포는 세포막 안에 형성된, 두꺼운 세포벽을 두르고 있는 탈수된 세포이다. 여러 해 동안 비활성화된 상태로 머물 수 있으며,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나와 다시 자라기 시작한다. 내생아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아포가 막대형태 안에서 처음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바실러스속균의 아포 너비는 막대의 너비보다 항상 작으므로 아포가 생성된 자리의 막대가 돌출되거나 하지 않는다. 이는 바실러스속균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특히 탄저균의 아포는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에어로졸 형태로 가공하여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실제로 영국, 일본제국, 미국, 러시아, 이라크 등지에서는 탄저균 무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한 바 있으며 북한도 탄저균을 생물학적 무기로 가공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유전학적 특징[편집]

탄저균은 원형의 522만 7293염기쌍의 DNA 염색체 한 개를 가지고 있다. 염색체 이외에도 두 개의 원형 DNA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 pXO1과 pXO2라고 부른다. pXO1과 pXO2 모두 탄저균의 독력과 관련된 인자들을 여럿 지니고 있다.

pXO1 플라스미드[편집]

pXO1 플라스미드(182kb)는 pag(보호항원, PA), lef(치사인자, LF), cya (부종인자, EF) 등의 탄저독소 성분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인자들은 44.8kb 크기의 병원성 유전자군(PAI)에 위치하고 있다. 치사독소는 PA와 LF가 함께 발현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부종독소는 PA와 EF가 함께 발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PAI에는 전사 활성인자인 AtxA와 전사 억제자인 PagR도 있다. AtxA와 PagR은 탄저 독소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관여한다.

pXO2 플라스미드[편집]

pXO2는 poly-γ-D-글루탐산 협막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를 암호화한다. 이 협막은 탄저균이 숙주의 식세포작용에 저항하게 만듦으로서 숙주의 면역체계를 무력화시킨다. 협막 유전자는 pXO2의 PAI(35kb)에 있는 전사조절자 AcpA와 AcpB에 의해 활성화된다. 흥미롭게도, AcpA와 AcpB의 발현은 pXO1의 AtxA에 의해 조절된다.

질병[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탄저입니다.

병변형성[편집]

탄저균은 탐식에 저항하는 협막을 지니고 있다. 또한, ① ‘부종인자’라고 부르는 칼모듈린 의존성 아데닐산고리화효소(세포내 cAMP의 증가를 유발하여 임상적으로 심각한 부종을 유발), ② 세포괴사를 유발하는 ‘치사독소’, ③ 부종인자와 치사독소가 세포내로 들어가도록 매개하는 ‘보호인자’ 등 3개의 외독소를 생산한다.

인간 질병에서의 증상[편집]

사람에서는 질병의 전파경로에 따라 3가지 양상의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 피부형 : 전체 탄저환자의 9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 국소적인 염증성, 검은색의 괴사병변 (건조가피).
  • 폐형 : 치사율이 극히 높은 형태. 급작스러운 흉부의 부종이 일어난 후 심혈관계 쇼크가 유발, 사망에 이름.
  • 위장관형 : 드물지만 역시 치명적인 형태(치사율 25%). 아포를 섭취한 후 유발됨.

예방과 치료[편집]

가축과 인간을 위한 탄저백신이 개발되어 사용가능하다. 탄저균에 감염된 경우 페니실린 같은 β-락탐항생제 또는 다른 그람양성균에 잘 듣는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페니실린 저항성 탄저균은 시프로플록사신 같은 플루오로퀴놀론 또는 독시사이클린 같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로 치료될 수 있다.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Bacillus_anthracis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