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철도 노선 | ||
+ | |노선 = 충북선 | ||
+ | |배경색 = #0066B3 | ||
+ | |그림 = [[파일:충주역.jpg|300픽셀]]<br>충주시의 교통중심지인 충주역<br>[[파일:충북선.png|300픽셀]] | ||
+ | |한글 표기 = 충북선 | ||
+ | |영문 표기 = Chungbuk Line | ||
+ | |한자 표기 = 忠北線 | ||
+ | |소재국 = [[파일:태극기.png|30px]] [[대한민국]] |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
+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
+ | |위탁 운영 = | ||
+ | |기점 = [[조치원역]] | ||
+ | |종점 = [[봉양역]] | ||
+ | |운행 계통 = | ||
+ | |궤간 = 1,435㎜ (표준궤) | ||
+ | |선로 = 1 (조치원-오송) / 2 (오송-봉양) | ||
+ | |열차 편성 = | ||
+ | |영업 거리 = 115.0km | ||
+ | |소요 시간 = 1시간 35분 (조치원-제천<ref>제천역은 충북선은 아니지만 모든 충북선 여객열차의 시·종착역이다.</ref>, 무궁화호) | ||
+ | |표정 속도 = 77km/h (〃) | ||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1편 운행 (〃) | ||
+ | |개통일 = 1921년 11월 1일 | ||
+ | |폐선일 = | ||
+ | }} | ||
+ | |||
+ | {{대사|충청북도를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 | ||
+ | |||
'''충북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소재의 [[봉양역]]을 잇는 길이 115.0km의 [[대한민국]] 간선 [[철도]] [[노선]]으로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6이며 공식적인 지선 노선은 없다. | '''충북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소재의 [[봉양역]]을 잇는 길이 115.0km의 [[대한민국]] 간선 [[철도]] [[노선]]으로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6이며 공식적인 지선 노선은 없다. | ||
2015년 1월 28일 (수) 04:52 판
300픽셀 충주시의 교통중심지인 충주역 300픽셀 | |
한글 표기 | 충북선 |
---|---|
영문 표기 | Chungbuk Line |
한자 표기 | 忠北線 |
소재국 | ![]()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 |
기점 | 조치원역 |
종점 | 봉양역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조치원-오송) / 2 (오송-봉양) |
영업 거리 | 115.0km |
소요 시간 | 1시간 35분 (조치원-제천[1], 무궁화호) |
표정 속도 | 77km/h (〃)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1편 운행 (〃) |
개통일 | 1921년 11월 1일 |
“ | 충청북도를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 | ” |
충북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소재의 봉양역을 잇는 길이 115.0km의 대한민국 간선 철도 노선으로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121호에 의한 노선 번호는 206이며 공식적인 지선 노선은 없다.
19개 정거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화물 취급역은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역, 청주공항역, 도안역, 음성역, 달천역, 충주역 등 8개역이며 그 외 역에서는 여객 업무만을 수행한다. 역간 평균 거리는 6.05km, 최단 거리는 오근장역과 청주공항역의 2.9km, 최장 거리는 청주역과 오근장역의 10.1km이다.
기점인 조치원역과 종점인 봉양역에서 각 각 경부본선과 중앙본선과 접속하며, 오송역에서 오송선과 접속한다.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일반 간선 | |
주요 지선 |
- ^ 제천역은 충북선은 아니지만 모든 충북선 여객열차의 시·종착역이다.